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대한민국 연구 현장

[‘코로나19’ 확산 비상]국내 연구진 ‘코로나19 무력화 항체’ 찾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학연구원 “사스·메르스 항체 이용”…백신 개발 ‘청신호’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를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중화항체가 코로나19 스파이크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스파이크단백질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 내에 침입할 때 활용하는 단백질이다. 백신을 통해 항원이 주사되면 인체는 면역반응에 따라 항체를 형성하며 병원체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를 중화항체라고 부른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가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백신 개발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유전체 분석을 통해 사스 바이러스와의 유사성을 확인한 뒤 기존에 알려져 있는 사스·메르스 중화항체가 코로나19에 결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 아카이브(bioRxiv)’에 공개된 코로나19 스파이크단백질의 구조 정보 파일을 분석해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중화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음을 예측했다.

융합연구단은 또 지난달 17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넘겨받은 코로나19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를 배양해 코로나19 바이러스 RNA(리보핵산)를 확보했다. RNA는 유전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핵심물질이다.

연구진이 이를 이용해 해외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프로브세트의 민감도를 비교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N 유전자’ 검출용은 미국 질병통제센터의 '2019-nCOV N2', '2019-nCOV N3'와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NⅡD 2019-nCOV_N’의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RdRp/Orf1 유전자’ 검출용은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의 ‘ORFlab’ 프라이머·프로브세트가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머·프로브세트는 유전자 분석에 사용되는 도구다.

화학연구원은 전 세계의 코로나19 검출용 주요 프라이머·프로브세트의 민감도를 비교한 것은 처음이며 보다 민감한 진단키트 개발에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