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사설] 대형마트 영업위기, 의무휴업 규제 폐지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급성장 등 외부 환경변화에 제때 대응하지 못한 데다 각종 규제가 장기화하면서 매출이 급감하는 추세다. 유통업계 간판업체인 롯데쇼핑이 백화점과 마트, 슈퍼 등 전국 700여개 점포의 30%에 해당하는 200여개 점포의 문을 닫기로 결정한 것이 그런 결과다. 다른 경쟁업체들도 사정이 별반 다를 바 없어 고강도 구조조정 한파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롯데쇼핑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279억원으로 전년 대비 28.3% 줄어들었다. 그중에서도 마트와 슈퍼의 손실이 컸다. 실적이 침체된 것은 이마트도 마찬가지다. 이마트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1507억원으로 전년보다 67.4%나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업계 1~2위 업체들이 서민 밀착형 점포인 마트와 슈퍼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것이 숫자로 확인된 셈이다.

유통 대기업들의 위기에는 쿠팡·위메프·티몬 등 소셜커머스 3개사가 주도한 온라인 쇼핑의 약진에 소홀히 대응한 것도 큰 원인이 됐다. 이들 3개사의 작년 한 해 동안 거래액은 20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소매 판매액의 20% 이상을 온라인 쇼핑이 차지했고, 이 비율은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대형마트에 대해 강제휴업, 영업시간 단축, 입점제한 등 여러 규제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문제다. 정치권이 골목상권을 보호한다며 적용한 규제가 대형마트를 생사기로로 몰아간 측면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기업형 슈퍼마켓(SSM) 출점 규제가 시작된 2010년부터 본격화한 유통 규제가 얼마나 역효과를 냈는지 엄밀히 짚어 볼 필요가 있다. 대형마트가 주말 하루를 쉬면 점포당 3억원 이상, 슈퍼는 1800만원 안팎의 매출 손실이 난다고 한다. 지금까지 줄잡아 30조원에 가까운 매출이 날아갔다는 게 업체들의 계산이다. 이제 대형마트 직원들이 무더기로 해고돼야 할 판이다. 아무리 취지가 좋다 해도 역효과를 내는 규제는 없느니만 못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업체마다 “죽을 지경”이라고 하소연하는 마당에 매장 문을 강제로 닫게 하는 규제가 옳은 것인지 따져볼 때가 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