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완성차 업체 파업으로 7.6조 손실…"수소차 50만대 생산 가능 액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차산업시대 노동 및 임금 유연성 확보 시급"

뉴스1

21일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대회의실에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발전전략'을 주제로 열린 제8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자동차산업연합회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자동차 업체 파업으로 인한 누적손실액은 2030년까지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전기차 50만대 생산을 위해 필요한 투자금액에 해당한다."

김동배 인천대 교수는 21일 자동차산업연합회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발전전략'을 주제로 개최한 제8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김 교수는 4차 산업혁명시대 자동차산업과 노동시장을 언급하면서 4차 산업혁명은 높은 유연성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 자동차 산업은 유연성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사내하청 정규직화와 근로시간 단축 및 파견금지, 기술직 교육훈련 부재, 배치전환의 어려움, 단일 호봉제, 경영실적과 무관한 성과급제 등을 유연성 부족의 사례로 꼽았다.

김 교수는 또한 노사 관계 악화로 파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그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자동차 업체 파업으로 인한 누적손실액은 약 7조6000억원에 달한다"며 "이는 현대차그룹과 협력사들이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50만대를 생산하기 위한 투자금액과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노동 법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자동차 산업이 세계 시장의 위축과 미국 등의 보호무역주의, 중국 자동차산업의 부상, 차세대 차동차 산업으로의 전환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 생산은 395만대로, 400만대가 붕괴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지난해 자동차부품업계 평균 영업 이익률은 2%로 떨어져 적자 기업이 25%에 달하는 등 부품 생산기반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용구조, 경직된 노사관계, 비효율, 각종 규제, 협소한 내수시장 등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 연구위원은 연구개발 부문에서 고용을 확대하고, 부품산업의 해외 마케팅 강화, 제조경쟁력 제고, 설계 및 개발 능력 강화를 통한 해외시장 개척에 힘쓸 것도 주문했다.

미래 자동차산업 경쟁력을 위해 전기차 보급 목표와 함께 내연기관차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재 전기차의 시장 성숙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기차 비율만으로 정부의 온실가스 규제 대응에 나서기가 쉽지 않아서다. 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전기차·수소차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판매할 수 있는 재원 마련을 위해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통한 수익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ho8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