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사설] 인적쇄신 하겠다는 여야, 핵심은 젊은피 수혈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총선을 5개월여 앞두고 여야 정치권이 현역 의원 물갈이와 새 인물 영입 등 인적쇄신 경쟁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총선기획단을 꾸리고 4일부터 현역 의원 최종 평가에 돌입했고, 자유한국당은 2차 인재 영입 명단을 발표할 방침이다. 특히 민주당은 의원 평가를 통해 현역 의원(128명) 중 4분의 1까지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공천 물갈이와 인재 영입은 내년 총선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 될 공산이 크다. 여야가 역대 총선에서 30% 안팎의 물갈이에 나선 것도 젊고 새로운 인물을 바라는 국민들 요구가 거셌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정치권은 아직까지 '젊은 피 수혈'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20대 국회를 보면 20·30대가 3명, 40대가 50명, 50대가 161명, 60대 이상이 86명으로, 50대 이상이 82.3%를 차지하는 역대 최고령 국회다. 국제의회연맹(IPU) 조사 대상국 150개국 중 한국은 45세 미만 의원의 비율이 6.3%로 거의 꼴찌 수준(143위)이다. 20·30대 국회의원의 비율 또한 스웨덴 34%, 독일 18%, 일본 8%, 미국 6.7%인 데 비해 우리는 1%에 불과해 세대별 불균형이 극심하다.

정치권의 과감한 변화와 개혁을 위해선 세대교체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반대세력을 겨냥한 정략적 물갈이는 경계해야 하지만, 새판을 짜기 위한 인적쇄신은 필요하다. 그래야 이념, 진영, 지역에 사로잡힌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경제와 민생을 챙기는 새로운 정치를 구현할 수 있다. 국회에서 젊은 세대 비중이 늘어야 일자리, 주거, 복지 등 주요 현안과 미래 담론에 대한 2030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기성세대와의 협력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젊은 피 수혈은 말로만 외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국회 진입장벽부터 낮춰야 한다. 청년들에게 가점제를 부여해 비례대표 및 지역구 공천 할당을 30% 이상 늘리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지 않으면 경력, 재력, 인맥, 인지도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청년 정치지망생들이 기성세대에 밀리게 되고, 유능한 정치신인 발굴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