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용인시, 원삼면 일대 독립운동가 20명 발굴, 포상 신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인시·경기동부보훈지청·용인시의회, 문서고 확인

태형 90대·보안법 위반 등 일제 수형인 명부서 발견

뉴시스

용인시 원삼면 서고에서 수형인 명부를 찾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용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용인=뉴시스】이준구 기자 = 경기 용인시는 자칫 묻혀질뻔했던 독립운동가 20명을 발굴,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했다고 16일 밝혔다.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경기동부보훈지청·용인시의회와 공동으로 1919년 당시 용인 3·21만세운동에 참가했던 원삼면 일대 독립운동가 20명의 일제시대 수형기록 등을 찾아내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했다.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가 국가기관인 보훈지청과 협업, 미수훈 독립유공자를 발굴해 포상을 신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신청은 시가 ‘3·1만세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8월 경기동부보훈지청과 용인 만세운동을 공동 조사하던 중 처인구 원삼면주민센터 문서고에서 일제가 남긴 수형인 명부를 찾아내면서 시작됐다.

이 명부에는 당시 만세운동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태형 90대를 맞은 20명의 독립운동가의 기록이 남아있다. 이들의 죄명은 ‘보안법위반’, 형의 명칭은 ‘태 90’, 즉결청명은 ‘용인헌병분대’로 각각 기록돼 있다.

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출생지 직업 판결일 등이 상세하게 남아 있어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하게 된 데 결정적인 증거자료가 됐다.

백군기 시장과 박용주 경기동부보훈지청장, 이건한 용인시의회의장은 16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이같은 내용의 신청서에 공동으로 서명하고 국가보훈처에 전달했다.

용인 3·21만세운동은 1919년 3월21~4월2일 용인군 전역에서 1만3200여명이 참가한 지역 최대의 독립운동으로 희생 35명, 부상 140명 등의 인명피해를 당했고 500명이 투옥됐다. 이 가운데 21명은 지난 1990~2006년 사이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다.

이날 포상을 신청한 독립운동가는 이웅한(李熊漢) 장지선(張志善) 장병식(張秉植) 조용산(趙龍山) 황덕재(黃德在) 황찬경(黃瓚景) 변용섭(邊用燮) 임흥도(林興道) 박흥준(朴興俊) 허충태(許忠台) 김일춘(金日春) 박희적(朴熙積) 이병연(李秉淵) 이태현(李泰鉉) 이범기(李範驥) 이상철(李象喆) 이은상(李殷商) 오경렬(吳慶烈) 서천길(徐千吉) 안재섭(安在燮)씨 등이다.

국가보훈처는 이들에 대해 공적심사위원회의 심의와 검증을 거쳐 내년 3월께 포상 여부를 최종 발표하게 된다.

뉴시스

용인만세운동 유공자 포상을 위한 신청서 제출 공동 서명식. (사진제공=용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pkk12088@hanmail.net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