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후 故 이희호 여사의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서울 동교동 사저를 찾아 고인의 영정에 헌화하고 있다. 2019.06.16. (사진=청와대 제공)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유럽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귀국 후 첫 일정으로 자신의 순방 기간 중 서거한 고(故) 이희호 여사의 사저를 찾아 조문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으로 귀국해 영접나온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을 잠시 만난 뒤 곧바로 청와대가 아닌 서울 동교동 이 여사 사저로 향했다. 부인 김정숙 여사, 청와대 노영민 비서실장과 강기정 정무수석도 동행했다.
문 대통령은 이 여사 영정에 직접 헌화하고 절도 올렸다. 문 대통령은 김홍업 전 의원, 김홍걸 민화협 대표상임의장 등 고인의 아들들을 만나 "나라의 큰 어른을 잃었다"고 애도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의 역사는 김 전 대통령부터 시작됐고, 그 곁엔 늘 이 여사가 계셨다"며 "계시는 것만으로도 중심이 돼 주셨는데"라고 고인의 별세를 안타까워했다. 또 여성운동가로서 이 여사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며 "그 분의 뜻이 헛되지 않도록 잘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문 대통령과 김 여사께서 특별히 신경써 주셔서 마지막까지 잘 모실 수 있었다"며 "정말 많은 국민들이 빈소를 찾아 주셔서 마지막 가시는 길이 외롭지 않으셨다"고 했다.
![]() |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6일 오후 故 이희호 여사의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서울 동교동 사저를 찾아 고인의 영정에 절하고 있다. 2019.06.16. (사진=청와대 제공)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대통령은 북유럽 순방을 위해 지난 9일 출국했다. 이 여사는 하루 뒤인 10일 별세했다. 이 여사 장례식은 문 대통령 귀국 전인 14일 엄수됐다.
문 대통령은 이 여사 서거 직후 핀란드 헬싱키에서 애도의 뜻을 전했다. 그는 "평화의 소식을 가장 먼저 알려드리고 싶었는데 벌써 여사님의 빈자리가 느껴진다"고 했다. "순방을 마치고 바로 뵙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을 지켰다.
문 대통령이 순방 중이던 지난 1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판문점으로 보내 이 여사를 애도하며 전한 조화는 반영구 보존될 전망이다.
김대중평화센터는 현재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해당 조화를 특수처리해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남북관계 개선의 상징성이 커 통상적으로 조화를 폐기하는 방식을 택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앞서 지난 2009년 김 전 대통령 서거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보낸 조화 역시 특수처리된 상태로 현재 김대중도서관에 비공개 보관 중이다.
![]() |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12일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 두번째)과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에게 고 이희호 여사를 애도하며 보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조화를 전달하고 있다.(통일부 제공)2019.6.12/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부부장은 판문점에서 조화를 전달하며 "김 위원장이 부디 유족들이 슬픔 이겨내고 김 전 대통령과 이 여사의 뜻을 받드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별도의 조의문을 통해서는 "이 여사가 김 전 대통령과 함께 온갖 고난과 풍파를 겪으며 민족의 화해와 단합, 나라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기울인 헌신과 노력은 자주통일과 번영의 길로 나아가고 있는 현 북남관계의 흐름에 소중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며 "온 겨레는 그에 대해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조철희 기자 samsar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