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국군 창설의 뿌리"…야당 반발 부른 문 대통령의 김원봉 평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항일 무장독립투쟁가 약산 김원봉(1898∼1958)을 언급하면서 "민족의 독립운동 역량을 집결했다",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창설의 뿌리가 됐다" 등의 평가를 했다.


청와대는 좌우 이념을 극복한 애국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언이라고 설명했지만 야당은 김원봉이 해방 이후 북한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한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라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반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하면서 김원봉의 이름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1945년 일본이 항복하기까지 마지막 5년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좌우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했다.


이어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평가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추념식 후 논평을 내고 "6·25 전쟁에서 세운 공훈으로 북한의 훈장까지 받고 북의 노동상까지 지낸 김원봉이 졸지에 국군 창설의 뿌리, 한미동맹 토대의 위치에 함께 오르게 됐다"고 비판했다.


전 대변인은 "6·25 전사자들을 뒤에 모셔두고, 눈물로 세월을 견딘 가족들을 앞에 두고, 북의 전쟁 공로자에 헌사를 보낸 대통령이 최소한의 상식의 선 안에 있는지 묻고 싶다"며 "청와대와 집권세력이야말로 가장 극단에 치우친 세력이라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이제 보훈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김원봉에게 독립유공자 서훈, 즉 대한민국의 '건국훈장'을 주려고 시도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으로 또 국민의 한 사람으로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애국 앞에서 이념의 문제나 정파의 문제를 뛰어 넘자는 것이 문 대통령 발언의 취지"라며 "발언을 문맥 그대로 이해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요인 암살 등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하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으며,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과 군무부장을 지냈다.


그러나 1948년 월북해 그해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고, 같은 해 9월 국가검열상에 올랐다.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낸 경력 탓에 그동안 보훈처의 국가유공자 선정 대상에서도 제외됐다.


문 대통령은 과거에도 김원봉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적이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지난 2015년 8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도 "광복 70주년을 맞아 약산 김원봉 선생에게 마음 속으로나마 최고급의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 드리고 술 한 잔을 바치고 싶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글에서 "이제는 남북 간의 체제 경쟁이 끝났으니 독립유공자 포상에서 더 여유를 가져도 좋지 않을까"라며 "일제시대 독립운동은 독립운동대로 평가하고, 해방 후의 사회주의 활동은 별도로 평가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항일의 역사를 바로 세우는 길이기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 해 7월에는 당직자들과 영화 '암살'을 관람한 뒤, 극 중 인물로 등장한 김원봉에 대해 "정말 치열하게 무장투쟁한 분인데, 해방 후에 북으로 갔다 얼마 있어 숙청됐다. 남에서도 북에서도 설 곳이 없었다"고 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오늘 문 대통령의 발언이 김원봉에 대한 서훈 추서를 재추진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나'라는 질문에는 "그건 별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