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증권사 ‘부동산 PF’에 빚보증 24조 급증…금융위서 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수료 짭짤해 앞다퉈 뛰어들어

미분양 땐 증권사가 부채 떠안아

국내 증권사들이 부동산 금융에 열을 올리면서 지나친 쏠림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7일 관계 기관과 ‘제2차 거시건전성 분석협의회’를 열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건전성 관리방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제2 금융권, 특히 증권사 중심으로 급증한 부동산 PF에 대한 위험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25조8000억원이다. 2013년(12조1000억원)의 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그중 대부분인 24조1000억원을 증권사가 맡았다.

손병두 금융위 사무처장은 “부동산 PF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행하고 자본 적정성·유동성이 부족한 ‘요주의 금융회사’를 선별해 리스크 관리 실태를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종합관리 시스템을 올 하반기 중 구축할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시행사는 아파트 착공 전 PF 대출을 받은 뒤 공사가 끝나면 분양대금을 받아 대출을 갚는다. 증권사는 유사시 빚을 대신 갚아주기로 보증을 서고 수수료를 챙긴다. 2013년 이전엔 주로 시공사가 하던 역할이었다. 대형 건설사들이 채무보증에서 발을 빼면서 최근엔 증권사가 도맡아 하고 있다.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부동산 PF 채무보증에 나서는 것은 수수료가 짭짤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PF 수수료율은 3~4%에 달한다. 전통적인 증권사 수익원인 기업공개(0.63%)나 유상증자(0.39%)보다도 훨씬 높다. 특히 자기자본 규모가 큰 대형 증권사가 이 시장을 주도한다. 대형사는 초대형 투자은행(IB)으로 지정되기 위해 증자 등으로 자본을 대거 확충했다. 부동산 PF는 단기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수단으로 통한다. 지난 1분기 증시 약세에도 증권사들이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거둔 비결이다.

문제는 일부 지방 부동산 시장에선 경기 하강 징후가 뚜렷하다는 점이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채무보증은 고위험·고수익의 매입 확약 형태가 많다. 미분양으로 시행사가 부도나기라도 하면 증권사가 고스란히 채무를 떠안아야 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3월 보고서에서 “부동산 경기 하강위험이 커지면서 증권사의 부동산 PF의 우발채무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겪은 금융위와 금융감독원 등은 경계를 강화하고 나섰다. 금융 당국은 부동산 PF로 쏠림 현상이 금융회사 건전성에 위험요인으로 보고 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