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신흥국은 지금 `눈물의 금리 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외국인 자금 이탈 ◆

신흥국들이 통화가치 하락 등 금융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금리 인상 등 자본 유출 방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런 노력이 오히려 부메랑으로 다가와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신흥국 통화정책 입안자들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 신흥시장 위기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각국 정부의 정책이 신흥국과 세계경제의 장기 성장 전망을 암울하게 만든다는 자성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신흥국들이 금리를 올려 지출을 통제하면 글로벌 성장 가능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신흥국들이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외국에서 물건을 들여와 투자를 해야 한다. 이때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최근처럼 외국인 자본 유출이 발생할 때는 금리를 올려 자본 이탈을 막게 되고 이때 신흥국의 투자 수요가 줄어 장기적 성장에 부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수바시 찬드라 인도 재무부 경제담당 차관은 "투자가 필요한 신흥국에서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올 들어 달러 강세와 미국 금리 인상 기조로 신흥국 주식·채권 가격이 하락하면서 신흥국이 직면한 이러한 딜레마가 더욱 커졌다고 WSJ는 설명했다. 경제 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지만 무작정 비용을 투입하기에는 지금처럼 외자 유출이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시장이 극도로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투자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안드레스 발라스코 런던정경대 교수는 "한국과 싱가포르 같은 국가들은 과거 성장을 위해 '적자 발전 전략'을 추구해 성공했지만 지금은 세계적으로 그때에 비해 자본이 훨씬 빨리 돌고 있어 그 같은 전략이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발라스코 교수는 "제대로 모든 정책이 잘 돌아가고 있는 국가도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 높은 투자, 고성장의 경로를 따르기는 매우 힘들다"며 "이런 경로를 가려면 자본이 필요하지만 그 자본 흐름은 국가가 필요로 하는 것만큼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설명했다.

[이새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