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국립민속박물관, '기억의 공감, 2018년도 기증자료전'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인연 '기증', 기억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시간

[정보미 기자]
문화뉴스

ⓒ국립민속박물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뉴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17년 한 해 동안 기증받은 대표 자료를 소개하는 "기억의 공감共感, 2018년도 기증자료전"을 개최한다. 오는 17일부터 내년 10월 14일까지 상설전시관 3관 기증전시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는 '견짓대', '분합문分閤門', '제사상', '삼층농' 등 2017년 대표 기증자료 100여 점이 출품된다. 이와 함께 오는 16일 오후 3시에는 기증자를 초청하여 개막식을 개최한다.


'기증', 기부와 나눔의 고귀한 가치


2017년에는 모두 92명의 기증자가 소중한 자료 3837점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했다. '기억의 공감共感'전을 개최하는 것은 '기증'이라는 기부와 나눔의 고귀한 가치를 마음에 새기고, 개인의 이야기가 담긴 자료를 공유함으로 우리 모두의 기억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기 위함이다.


1964년 첫 기증을 시작으로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총 1182명이 5만 303점의 자료를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했고, 이는 국립민속박물관이 생활문화를 연구하고 전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표 생활사박물관으로서 자리매김하는데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수증은 시대나 특정 품목을 국한하지 않고, 자료에 담긴 개인의 기억과 자료가 사용되었던 맥락에 최우선의 가치를 두고 있다. 박물관은 개인의 삶의 흔적을 잘 보존하고 관리하는 공간으로 한층 친근하게 다가서기를 희망하고, 이러한 소장품이 훗날 당시의 생활문화를 상세하게 복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모두의 기억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시간


'기억의 공감共感'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전시품들은, 조상님의 손길을 거쳐 부모님의 눈길과 마음을 담은, 애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수집한, 이제는 쉽게 찾아볼 수 없으나 오랜 시간 우리의 생활 속에서 벗이 되어주던 소중한 사례들이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서병원․남현자 기증 '견짓대' 등 민물낚시 도구는 기증자가 평생에 걸쳐 수집한 자료 276건 1002점을 대표한다. 견지낚시는 견지에 낚싯줄을 감고 이것을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물고기를 낚는 낚싯법으로, 기증품은 민물낚시 도구가 주를 이루지만 그 도구의 제작도구나 도구의 원재료도 포함될 만큼 내용과 양이 방대하다. 기증자가 후대에 한민족이 어떤 지혜를 가지고 민물낚시를 이어왔는지 그 흔적을 체계적으로 모아야 하겠다는 사명감으로 모은 일습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신좌섭 기증 '분합문分閤門'은 대청마루 앞으로 한 칸에 네 짝씩 드리는 긴 창살 문으로, 기증자의 어머니 인병선 여사(前 짚풀생활사박물관장)가 수집한 전통 창호 84건 182점 중 대표작이다. 1970년대 농촌 근대화 작업으로 이제는 찾아보기 힘든 전통 가옥이나 사찰 문의 기증을 통해,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의 영역을 한층 넓고 두텁게 하는 데 기여했다.


이원재 기증 '제사상'은 강릉 선교장 이내번(李乃蕃 1703~1781) 집안의 친척인 기증자가 7대조 때부터 약 200년간 사용해왔던 제사용품들과 함께 기증한 것이다. 강원지역 사대부 집안의 제사 모습을 볼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장경호․장신자 기증 '삼층농'은 1911년생인 기증자의 어머니가 19세에 결혼할 때 구입한 혼수품이다. 이화학교를 다니다 결혼하여 3남 4녀를 두었던 어머니에 대한 추억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상단에 거울이 부착된 모습 등이 1930년대 제작된 삼층농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보존 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전시품들 각각이 소중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 이를 통해 관람객들도 자신의 기억을 떠올리며 공감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정보미 기자(heg@gomh.kr)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