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사모펀드 12년간 年수익률 25%… 코스피 2.5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05년 사모펀드(PEF) 제도가 도입된 이래 사모펀드 투자는 12년 동안 연평균 25%가 넘는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 평균 수익률(10%)의 2.5배다.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17일 한국의 PEF 시장을 분석한 리포트를 통해 한국 PEF의 성과와 성장 요인 등을 공개했다. 사모(私募)펀드란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특정 기업의 주식을 인수해 경영에 참여한 뒤 기업 가치를 높여 되팔아 수익을 남기는 펀드를 말한다.

코스피 대비 연평균 2.5배 높은 수익률 거둔 PEF

2005년부터 지금까지 PEF가 투자한 돈은 890억달러(약 100조원)가 넘고, 이 돈은 870개 이상 기업에 투자됐다. 전체 투자액의 62%에 달하는 540억달러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 구조조정 이슈가 불거진 2013~2017년에 집중적으로 투자됐다.

특히 2011년 이후엔 1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big ticket investment)'가 해마다 전체 거래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600조원 넘게 굴리는 국민연금도 주식과 대체투자 비중을 꾸준히 늘리면서 PEF를 주요한 투자 채널로 활용했다. 그 결과, 투자액 기준으로 보면 PEF가 한국 내 모든 인수·합병(M&A)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맥킨지는 파악했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PEF는 수익률 측면에서도 양호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540건 PEF 투자의 평균 수익률을 분석해보니,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코스피 수익률은 마이너스 41%로 곤두박질쳤지만, PEF는 9%로 선방했다. 유럽 재정 위기로 옮아 붙은 2011년에도 코스피가 마이너스 수익률(-11%)을 기록한 반면, PEF는 40%의 수익률을 올리면서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2005~2014년 사이에 PEF 투자액 528억달러 중 60%인 338억달러가 회수됐고, 131억달러가 수익으로 더해져 수익률이 40%에 달했다.

PEF들은 지분에 투자한 후 경영 관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PEF의 경영 참여는 기업 체질을 개선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모펀드의 투자를 받은 국내 기업 70여개를 분석한 결과, 2005~2014년 사모펀드로부터 투자를 받고 경영 관리를 받은 회사의 평균 영업이익 성장률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영업이익 평균 성장률보다 높았던 경우가 8차례나 됐다.

국내 PEF 시장 급성장시킨 요인 4가지

맥킨지는 우리나라 PEF 시장의 급성장 요인으로 먼저 기업들의 자본 조달 창구였던 증시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흔들린 뒤 사모펀드가 새로운 돈줄로 부상한 점을 들었다. 2015년 국내 증시에서 기업공개(IPO) 등으로 조달된 자금은 80억달러가 채 안 됐지만, 사모펀드는 그 두 배가 넘는 170억달러에 가까운 자본을 기업들에 투입했다. 다국적 기업들이 모(母)회사의 자금난으로 한국 시장에서 잇달아 철수한 것도 PEF 시장에는 기회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됐다. 2015년 영국 유통기업 테스코가 국내 대형 할인점 홈플러스를 한국 사모펀드 MBK에 60억달러에 매각한 경우가 대표 사례로 꼽혔다.

한국만의 독특한 규제 환경도 PEF의 성장 배경으로 분석됐다. 맥킨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상속세(최고 65%)로 인해 1세대 기업 오너들이 자녀들에게 회사를 넘겨주지 못하고, 사모펀드에 매각하려는 수요가 커진 것으로 봤다. 보고서가 예로 든 국내 밀폐용기업체 락앤락은 작년 8월 보유 주식 전량(63%)을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에 5억6100만달러에 매각했다.

재벌에 대한 규제 강화로 대기업들이 핵심 사업 외의 자회사를 PEF를 통해 처분하려는 수요가 커진 점도 PEF엔 기회가 된 것으로 맥킨지는 설명했다.

이용진 맥킨지 한국사무소 시니어파트너는 "한국의 사모펀드 시장은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에서 주목받는 시장이 됐다"며 "한국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PEF들은 투자자들의 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형석 기자(cogito@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