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ㄱ,ㄴ부터 배운다더니…초등학교 입학 첫날 "따라 읽으세요"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부, '공교육이 책임지는 한글' 강조

학교는 '한글 이미 안다' 가정하고 수업

학생에게 '교과서 소리 내 읽기' 시키기도

중앙일보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도입된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신입생들의 한글 교육을 공교육에서 책임지겠다고 공표했다. 하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신입생에게 곧바로 읽기와 쓰기를 시키는 등 기초 한글 교육을 건너뛰는 경우가 많아 학부모의 비판을 받고 있다. 삽화=김회룡기자aseokim@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은 ㄱ, ㄴ, ㄷ부터 가르친다고요? 입학 첫날부터 담임교사가 ‘계단에서 뛰지 않기’ ‘복도에서 작게 말하기’ 같은 규칙을 칠판에 적어놓고 학생들더러 따라 읽게 해서 깜짝 놀랐어요. 입학식 다음 날부터는 등교하자마자 '학급문고를 꺼내 읽으라'고 지도하고요.”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김모(36·서울 양천구)씨는 '한글을 가르치지 않고 초등학교에 보내도 된다'고 홍보하던 교육부를 믿은 자신이 요즘 원망스럽다. 한글을 익히지 않고 입학한 자녀가 교육부의 발표와 달리 학교에서 애를 먹고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입학한 지 겨우 보름이 지났는데 다음 주부터는 받아쓰기 시험도 본다”면서 “정부 발표만 믿고 한글을 안 떼고 학교를 보냈는데 아이만 스트레스 받고 위축돼 속상하다”고 울상을 지었다.

중앙일보

초등학교 신입생에게 연필 잡는 법부터 가르치겠다고 강조한 교육부와 달리,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입학한지 보름만에 받아쓰기를 하거나 학급문고를 읽게 한다는 학부모의 불만이 제기돼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등 신입생 기초한글 수업 늘어
교육부는 지난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하면서 그 이전부터 '공교육이 책임지는 한글교육'을 강조해 왔다. "학교에서 한글을 제대로 읽고 쓸 수 있게 가르칠 테니 입학 전에 한글 선행학습을 할 필요 없다"는 게 교육부 발표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신입생은 한글을 아예 모르는 상태로 학교에 입학한다고 가정해 구성됐다. 이에 따라 초등 1학년은 연필 잡기부터 시작해 자음·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우고 겹받침이 있는 어려운 단어는 2학년에서 배우도록 했다. 초등학교 신입생을 위한 기초한글 수업도 기존 27시간에서 62시간으로 늘렸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이 같은 정책이 학교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학부모 박모(33·경기도 화성시)씨는 “국어 시간에 낱말 공부 대신 선 긋기, 원 그리기를 하고 말하기나 색칠공부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는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담임교사가 '오전에 아이가 읽을 책을 매일같이 챙겨서 보내달라'고 하고, 수업에서 교과서를 소리 내서 읽는 것도 벌써 시키더라”고 말했다. 박씨는 “국어 시간을 제외하면 아이들이 한글을 다 읽고 쓸 줄 안다는 전제하에 학교생활이 진행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초등학교 정규 국어 수업만으로는 한글을 깨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초등학교 입학 전 아예 한글 교육을 하지 않았다는 맞벌이 학부모 천모(34·서울 송파구)씨는 “후회막급”이라고 토로했다. 천씨에 따르며 최근 그의 자녀는 학교에서 돌아와 ‘엄마, 미안해요’라고 말했다. 깜짝 놀란 천씨가 이유를 물었더니 아이는 '선생님이 칠판에 쓴 글씨를 한 명씩 소리 내어 읽어보라고 시켰는데 혼자만 못 읽었다'고 답했다고 한다. 천씨는 “벌써 같은 반 아이들이 ‘쟤는 글도 모른다’며 조별 활동에 잘 끼워주지 않는 눈치”라며 속상해했다. 그러면서 “미취학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교육부를 믿지 말고 한글부터 떼게 하라’고 조언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초등1학년 입학 보름 만에 '받아쓰기'
학부모들은 교육부의 기초한글 교육도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학부모들은 “선 긋기·원 그리기부터 ㄱ·ㄴ·ㄷ 등 자음과 ㅏ·ㅑ·ㅓ·ㅕ 같은 모음을 가르치는 과정이 채 2주도 안 된다'고 하소연했다.

1학년 교사들은 "학생들이 한글을 전혀 모른다는 가정하에 수업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한다. 서울 송파구의 한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는 “한 학급에서 한글을 아예 모르는 학생은 많아야 2명 정도고 거의 모든 학생이 받침 없는 글자 정도는 읽고 쓸 줄 아는 수준에서 입학한다”면서 “일부 학부모가 받아쓰기 등 ‘제대로 된 공부’를 빨리 시작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토로해 어쩔 수 없이 받아쓰기 시험을 본 적도 있다”고 말했다.

학교에서 기초한글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으면 한글을 모른 채 입학한 학생들이 열등감과 소외감을 겪는 등 학교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10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논문(‘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이 이런 위험을 지적하고 있다. 전국 교사·학부모 등 1561명을 설문 조사했는데, ‘학생의 입학 초기 한글 해득 수준’이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71.9%나 됐다. 신입생 시기의 한글 해득 수준이 향후 학력 격차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 교사·학부모도 78.6%였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업과 별도로 한글교육 프로그램 필요"
초등학교에서 기초한글 교육이 제대로 안착하려면 정규 수업 시간과 별도의 한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정규 수업에서는 학생 간 수준 편차가 크고, 일정한 학습 진도가 정해져 있다. 한 번 뒤떨어진 학생이 따라잡지 못하는 것이 누적되면 학습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한글 학습에서 보충 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해선 무학년제로 언어 프로그램을 일상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기초한글 교육을 도울 전문 인력을 시·도 교육청이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중훈 인천 운서초 교사는 “교사 이외에 기초한글 교육 전문 인력을 교육청 단위에서 지원하고, 입학 초기 학생의 기초한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학생 각자의 발달 단계에 맞춰 적절한 수준으로 우리말을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