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서울시 "도시재생과 부동산 투기 연관성 거의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가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와의 연관성은 매우 약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으로 지정된 지역들의 주택 거래 가격 증감률과 서울시 전체 주택가격 증감률을 주택유형별로 전수조사한 해 분석한 결과,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와의 연관성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시는 우선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 이후 3년 평균 서울지역 전체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 아파트 모든 유형에서 8%로 나타나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의 평균 주택매매가격 증가율(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과 큰 차이가 없었다.

또 자치구 내에서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이 더 높은 지 살피기 위한 조사도 이뤄졌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 가격 증가율과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유사하거나 일부 유형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예컨대,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인 해방촌 지역의 경우 단독·다가구(해방촌 12.4%, 용산구 14%)는 용산구 평균 증가율과 비슷했으며 다세대·연립(해방촌 4.2%, 용산구 8.5%), 아파트(해방촌 6.2%, 용산구 8.2%)는 용산구 평균 증가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창신숭인과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 등 일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구역은 지역자체의 여건과 상승요인으로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과 ㎡당 가격이 해당 자치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같은 기간 강남4구의 재건축 아파트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인 8%보다 높은 12.4%로 나타났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도시재생활성화 시범사업지역을 지정, 발표한 지난 2014년 말 이후인 2015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 분석 대상은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중 주택 거래건수가 부족한 일부 지역(창동상계, 장안평, 세운상가 등)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으로 했다.

부동산 매매가격 분석을 위해서 서울시 토지관리과가 관리하는 주택실거래가 자료를, 건축인허가 분석을 위해서는 건축물 관련 인허가 신고를 종합관리하는 시스템인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건축인허가 데이터를 제공 받아 분석에 활용했다.

우고운 기자(woo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