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끈기 부족한 아이, 부모 탓이라네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연구진 “돌 지나서부터 배워”

많은 부모들은 자녀 성적이 떨어지면 “우리 애가 머리는 좋은데 끈기가 없다”고 위안을 삼곤 한다. 학습 전문가들도 고학년으로 갈수록 머리보다 끈기가 성적을 좌우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러한 아이들의 인내심은 부모의 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뇌인지과학과 연구진은 아이들이 돌을 막 지난 시기부터 부모를 보고 인내심을 배운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최근 뇌인지과학과 심리학 분야에서는 끈기가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지능지수보다 미래의 성공 가능성을 더 잘 예측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아이들이 언제부터 인내심을 인식하고 어떻게 배우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었다.

연구팀은 생후 13~15개월의 유아 262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경첩과 걸쇠로 닫힌 투명한 플라스틱 상자를 열고 고무 개구리를 빼내는 과정을 여러 차례 보여준 뒤 아이들이 직접 해보도록 했다. 우선 한 그룹의 아이들에게는 2분이란 시간 동안 여러 번의 시도를 통해 어렵게 고무 개구리를 빼내는 것을 보여줬다. 다른 그룹의 유아들에게는 10초 내에 간단하게 빼내거나 몇 번 시도하다 포기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 결과 오랜 시간에 걸려 성공하는 모습을 본 그룹의 유아들은 고무 개구리를 빼낼 때까지 시도를 했지만 다른 그룹의 아이들은 어른들처럼 경첩과 걸쇠를 몇 번 만져보다가 쉽게 포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