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디지스트,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 새 길 열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DGIST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웨이 강정영 기자]

DGIST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 냄새를 못 맡는 원인을 규명하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DGIST(총장 손상혁)는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의 냄새를 못 맡는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문제일 교수 연구팀은 가천대학교 서유헌, 장근아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초기 진행 상황과 후각기능 이상 간의 연간 관계의 메커니즘을 풀어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60~80%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현재 치매에 대한 근원적 치료법은 없으나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치매의 직접적 치료보다는 증세 완화 혹은 지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부분의 치료제들은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초기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는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過)발현돼 뇌 안에서 축적되며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땅콩버터를 이용한 후각 테스트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초기 증세를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등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후각 능력 감퇴 간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문제일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 이상에 주목해 중추신경계인 뇌뿐만 아니라 말초신경계인 후각신경계의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동물을 이용한 행동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발견되는 초기 후각기능 이상이 뇌 인지기능 이상을 보이는 생후 14개월보다 앞선 생후 6개월에 진행됨을 확인했다.

또한, 중추신경계 내부에서만 발현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말초신경계인 후각상피조직 자체에서도 직접 발현하는 것을 관찰했다.

더 나아가,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 속 후각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직접적으로 후각 기능 상실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셀 데스 앤드 디지즈(Cell Death & Disease)’ 온라인판(8월 10일)에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됐다.

대구 강정영 기자 newswaydg@naver.com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