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내 계란에서 파킨슨병 유발 물질나와…해당 달걀 번호는 무엇?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계란에서 파킨슨병 유발 물질나와…해당 달걀 번호는 무엇?

국산 계란에서 검출된 살충제 성분 '피프로닐'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동물실험 결과가 제시됐습니다.

17일 고현철 한양대의대 약리학교실 연구팀이 독성 관련 국제학술지(Toxicology Letters)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피프로닐을 쥐에 투여한 결과, 뇌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파민은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이를 만드는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파킨슨병이 발생합니다.

연구팀은 쥐의 흑질에 피프로닐을 주사하고 신경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습니다.

이 결과 피프로닐은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GFAP)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염증반응을 유발함으로써 도파민 신경세포를 손상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입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살충제가 파킨슨병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 연구와는 별도로 살충제 성분에 오래 노출되면 우울증 위험이 커진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고상백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팀은 국내 성인 2천15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살충제 중독시 우울증 위험도가 5.8배나 높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독성학'(NeuroToxicology) 최근호에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보고된 연구 대상자 중 살충제를 사용했던 사람의 수가 61명(7.2%)으로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54명, 4.2%)보다 많았습니다.

농촌지역에서 20년이 넘게 살충제를 사용해 온 사람들만 보면 우울증으로 보고된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보다 더 높은 살충제 농도에 노출돼 있을 위험이 2.4배로 추산됐습니다.

또 살충제 중독자의 우울증 위험도는 5.8배로 치솟았습니다.

고 교수팀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살충제의 부작용이 신경독성 및 내분비계 교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국내산 달걀에서 이러한 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우선 소비자들이 살충제 검출이 드러난 계란 공급농장 제품을 피하기 위해 확인할 것은 계란 표면에 쓰인 코드 번호입니다. 코드에는 지역번호, 생산자명, 집하장번호, 등급판정일자 등이 담겨 있습니다. 지역번호는 서울 01, 부산 02, 대구 03, 인천 04, 광주 05, 대전 06, 울산 07, 경기 08, 강원 09, 충북 10, 충남 11, 전북 12, 전남 13, 경북 14, 경남 15, 제주 16, 세종 17 등입니다.

이 중 피해야 할 계란 코드는 현재까지 총 6개입니다. 지난 14일 살충제 계란으로 판명난 농장의 코드는 △08마리 △08LSH를 비롯해 16일 추가로 드러난 △09지현 △08신선농장 △11시온 △13정화 등 4곳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