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정작 중국인들은 류샤오보 사망 모른다…`竹의 장막` 친 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언론통제로 국민 눈·귀 막아

매일경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중국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62)가 13일 숨졌지만 정작 중국인들은 이 같은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 당국의 철저한 언론 통제 때문이다. 그가 선양의 한 병원에서 간암으로 사망한 13일 저녁 이후 하루가 지나도록 중국 내 모든 방송과 신문은 그와 관련된 소식을 단 한 줄도 보도하지 않고 있다.

바이두, 시나, 소후 등 뉴스 포털에서도 그의 이름을 입력하면 오래된 뉴스만 나올 뿐 간암 판정과 병원 이송,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최근 소식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단지 외국인들이 볼 수 있는 영문판 관영 언론에선 류샤오보 소식을 짧게 다뤄 외국인들에게만 일부 공개한 대목이 있다.

예를 들어 공산당 산하 환구시보는 오히려 영문판을 통해 류샤오보의 생애와 업적을 깎아내렸다. 환구시보는 14일 영문판 사설에서 "류샤오보는 중국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던 시대를 살았지만 서방의 지원을 업고 중국 체제에 맞섰다"면서 "이것이 그의 비극적 인생을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은 중국 정부와 공산당의 강력한 언론 통제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차기 최고지도부를 선출하는 제19차 당대회를 앞둔 상황에서 중국 지도부가 가장 민감해하는 '인권'이 이슈화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다는 해석이다. 이에 따라 다른 나라에선 '중국의 만델라'로 칭송받은 류샤오보가 정작 조국에선 부고 뉴스 한 줄도 못 남기고 쓸쓸한 장례를 치르게 됐다.

중국 정부는 류샤오보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한 노벨위원회의 중국 방문을 막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베리트 라이스 안데르센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류샤오보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노르웨이 오슬로 주재 중국총영사관에 비자를 신청했지만 거부당했다.

다만 위챗을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용감한 지식인과 네티즌의 애도가 줄을 잇고 있다. 일부는 검열을 의식한 듯 한 글자도 적지 않은 채 류샤오보의 사진에 꽃을 바친 화면만 띄우는가 하면 일부는 중국어가 아닌 영어로 류사오보의 사망 소식과 추도글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런 글은 게시된 지 몇 시간 만에 곧바로 삭제되고 있다.

반면 세계 각국 정부와 지도자들은 류샤오보 사망에 잇달아 애도의 뜻을 나타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그의 죽음을) 깊이 애도하며 유족에게 조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총장은 그러나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자이드 라아드 알후세인 유엔 인권 최고대표는 "중국은 물론 세계의 인권운동에 헌신해왔던 투사를 잃었다"며 "류샤오보 가족과 친구들이 명예롭게 그의 장례를 치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류샤오보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면서 그의 부인인 류샤(55)에 대해 가택연금 상태에서 해제하고 출국을 허용하라고 중국 정부에 촉구했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성명에서 "류샤오보의 부인 류샤를 비롯해 그가 사랑했던 모든 이에게 충심 어린 애도의 뜻을 전한다"면서 "중국 정부는 류샤의 희망에 따라 그를 가택연금 상태에서 풀어주고, 중국을 떠나도록 해달라고 요청한다"고 말했다. 백악관도 성명을 내고 "시인이자 학자이며 용감한 운동가였던 류샤오보는 민주주의와 자유를 추구하는 데 삶을 바쳤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류샤오보의 부인 류샤와 가족, 친구들에게 깊은 조의를 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류샤오보가 사망한 13일에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찬사를 늘어놓아 논란을 일으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프랑스 파리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취임 이후 중국과 많은 분야에서 좋은 일들이 일어났다"고 소개하면서 시 주석을 일컬어 '위대한 지도자' '아주 훌륭한 사람' '멋진 남자' 등 찬사로 치켜세웠다.반면 마크롱 대통령은 트위터에 류샤오보를 '자유의 전사'라고 칭송하며 유족과 함께 슬픔을 나눈다는 글을 올려 트럼프와 대조를 이뤘다.

1989년 중국 톈안먼 민주화운동 주역인 왕단은 각국 정부가 중국 정부에 압력을 넣어 류샤가 가택연금 상태에서 풀려나 해외로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시 왕단이 이끌던 학생시위대는 유혈 충돌을 막고자 한 류샤오보의 중재를 받아들였지만, 중국 정부는 끝내 톈안먼 광장에 탱크를 진입시켜 유혈 진압을 했다. 이후 반체제 인사로 낙인찍혀 당국의 지속된 탄압을 받아오면서도 류샤오보는 외국으로의 망명을 거부했다. 그러나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죽음을 예감하고선 아내의 장래를 걱정해 외국행을 희망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