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고리 원전 1호기 39년 만에 퇴장···'탈원전' 가시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그래픽]국내 원자력발전소 운영현황···고리 1호기 영구정지


국내 첫 원전 고리 1호기, 18일 영구 정지···해체까지 20년 소요

월성 1호기도 영구 정지 유력···탈원전 흐름 가속화 관측도

【세종=뉴시스】박상영 기자 = 국내 최초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지 39년 만에 퇴역한다. 고리 1호기가 영구적으로 문을 닫는 것을 시작으로 탈원전 흐름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9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운영변경허가안'을 심의 의결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 1호기를 영구정지하기 위해 운영변경허가를 신청하고 원자력안전기술원의 기술심사와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의 사전검토가 이뤄진 지 1년 만이다.

고리 1호기는 지난 1977년 6월 19일 원자로 임계를 시작해 1978년 4월 29일부터 첫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39년 동안 운영된 고리 1호기는 오는 18일 24시 이후 영구 정지된다.

고리 1호기는 1971년 미국 정부의 차관과 원전 회사 웨스팅하우스의 기술 지원을 받아 착공했다. 고리 1호기는 2007년에 30년의 설계 수명이 지났지만 정부로부터 계속 운전 허가를 받아 2017년 6월 18일까지 수명이 10년 연장됐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들어 수명을 한 차례 연장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해외 원전의 경우, 두 차례 연장을 통해 70~80년 운영하는 원전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은 고리 1호기의 고장이 잦아 안전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연장에 반대해왔다. 실제 고리 1호기는 1977년 이후 최근까지 사고 고장 건수가 100여 건이 넘는 등 국내 원전 중 가장 많았던 데다 가동정지 일수가 늘어 경제성도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원안위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이후에도 정기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영구 정지일로부터 5년 이내에 한수원으로부터 해체 계획서를 제출받아 해체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원전 해체는 계획을 세우는 데부터 실제 해체하는 작업, 환경 복원 등에 약 20년이 소요된다. 폐로는 크게 제염(除染), 절단·해체, 방사성폐기물 처리·처분, 환경 복원 등 네 단계로 진행된다.

제염은 원전 구조물의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방사능 물질을 벗겨내기 위해 사포로 문지르거나 유기 용매를 이용해 벗겨낸다.

이후, 원전 구성품과 구조물을 잘라내는 절단·해체 작업을 거쳐 제염과 절단·해체 과정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작업을 한다.

마지막으로 해체가 완료된 원전 부지는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방사능 측정을 하고 안전성 평가를 하는 등 복원 과정을 거친다.

한수원은 원전 1기를 해체하는 데 약 6347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고리 1호기 해체가 결정 되면서 탈원전 흐름이 본격화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당장 국내 두 번째 원전인 월성 1호기 가동 중단 여부도 이르면 다음 달 법원에서 결정된다. 앞서 서울행정법원은 월성 1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결정이 적법한 심의·의결을 거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연말까지 만들어질 (산업통상자원부의) 8차 전력수급계획에 이런(탈원전) 에너지 정책 철학이 반영될 것"이라며 탈원전 정책 이행 의지를 강하게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을 골자로 한 탈 원전 정책을 공약했다.

원자력 산업 유관기관들은 신규 원전건설 중단 시 국내 원전 산업이 타격을 입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원전 건설 중단 정책 기조를 재고해 달라고 주장한다.

원자력계 관계자는 "원전은 국내 인력과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기술집약적 중소 기업형 산업"이라며 "현 정부가 계획 중인 신고리 5·6호기를 비롯한 신규원전 건설 중단 시 다수의 중소기업 인력 유지 및 공급망이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sypark@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