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中 한류 금지령 직간접 피해 15.2조원 추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정부의 한류 금지령(한한령·限韓令)의 직간접 피해 규모가 최대 15조2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국과 관계 회복 노력이 한한령 완화와 피해 축소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21일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 수는 2010년 100만명에서 불과하다가, 해마다 급증해 2016년 6월 700만명까지 늘었다. 매년 38%가량 급성장한 수치다.

이들이 한국에서 쓴 여행경비도 상당했다. 중국인의 방한 여행경비는 2010~2016년 연평균 45.4% 뛰어오르는 등 한한령 이전까지 18조원으로 추정됐다.

중국인들이 한국에서 주로 돈을 뿌리는 주요 형태는 쇼핑이었다. 중국인 방한 쇼핑경비는 최근 6년간 연평균 56.1% 상승해 2016년 기준 12조8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체 여행경비의 70.5%에 해당하는 규모다.

KIET는 “쇼핑은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는 주요 요인”이라며 “가장 많이 쇼핑하는 품목은 향수·화장품, 의류, 신발 등 패션관련 용품과 식료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중국 관광객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등 중국 정부의 한한령이 시작된 2016년 7월부터 급속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올해 3월 중국 정부의 여행상품 판매 금지까지 겹치면서 최근 한 달은 전년 동월 대비 60%이상 감소했다.

이로 인해 중국 관광객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화장품과 숙박, 항공 등 관련 광관 업계의 수익도 현저히 줄었다.

KIET는 이런 상황이 6개월~1년간 지속되면 중국인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지출하는 쇼핑경비 규모가 한한령이 없을 경우를 가정한 때보다 54%에서 80%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돈으로 따지면 5조6000억원에서 15조2000억원 수준이다.

KIET는 따라서 중국 이외 제3국의 방한을 활성화하고 중국 개별관광객 맞춤형 콘텐츠 개발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 등 중장적적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KIET 연구 결과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국과 관계 개선 시도에 대한 분석은 담기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중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러시아 등 4개국에 특사를 보냈고 중국의 경우 한한령 완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