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한국, 금융위기 이후 경제 효율성 OECD 최하위권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임초롱 기자 = 한국경제의 효율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8일 ‘성장잠재력 하락요인 분석: 생산효율성을 중심으로’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효율성은 2011년 이후 증가세가 약화돼 OECD 주요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금융위기 이후인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평균 효율성은 OECD 33개국 중 29위다.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0ECD에서 21위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소득에 비해 생산 효율성이 낮은 셈이다.

생산 효율성의 약화는 한 국가의 기초체력을 가리키는 잠재성장률 하락과 직결된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001∼2010년 연평균 4.5%에서 2011∼2014년에는 연평균 3.4%로 1.1%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잠재성장률의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기술, 산업구조, 경제제도 등을 포함한 총요소생산성이 0.9%포인트(1.7%포인트→0.8%포인트) 낮아져 가장 큰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모형을 이용해 OECD의 총요소생산성 변동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금융위기 이후(2011∼2015년)가 이전(2001∼2007년)보다 연평균 2.0%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특히 효율성 저하가 총요소생산성을 연평균 0.6%포인트 떨어뜨렸고 기술진보 요인은 총요소생산성의 1.4%포인트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를 제시했다. 2013년 OECD의 시장규제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시장규제는 33개 회원국 중 30위로 높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기업활동 장벽이 기득권 보호를 중심으로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시장규제 완화를 목표로 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생산 효율성이 상당 폭으로 개선될 여지가 있고, 지식재산권 보호 여건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