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불황이라더니 조선 ‘빅3’ 3분기 모두 흑자 전망…구조조정과 자산매각 덕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국내 조선 대형 3사가 이번 달 마지막 주부터 실적 발표를 할 예정인 가운데, 올해 3분기에는 ‘빅3’ 모두 나란히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희망퇴직과 설비 감축을 통해 3사가 비용절감에 나선 결과로 보여,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불황형 흑자’라는 말도 나온다.

20일 조선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조선 빅3는 올해 7~9월에 구조조정 효과로 수백억~수천억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빅3 중 가장 실적이 나을 것으로 전망되는 곳은 현대중공업이다.

증권가는 현대중공업이 올해 3분기 매출 9조6,000여억원, 영업이익 3,400억여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1%가량 줄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하는 것이다.

구조조정과 세계 경기 불황에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5,572억원을 기록하며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던 현대중공업은 3분기에는 수주 급감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흑자폭이 줄겠지만, 정유 부문 수익에 힘입어 흑자를 낼 것이 확실시된다.

삼성중공업은 3분기에 매출 2조4,000여억원, 영업이익 590억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 안팎으로 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하는 것이다.

삼성중공업은 2분기에 인력감축에 따른 일회성 비용 2,000억원을 실적에 반영한 탓에 2,83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3개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으나, 이번에는 훨씬 나아진 성적표를 받아들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도 3분기에 매출 3조1,000여억원, 영업익은 300억~400억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우조선은 2분기 연결기준 4,236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3개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1조원대 당기순손실을 내면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으나, 3분기에 흑자전환을 한다면 ‘바닥은 쳤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조선 빅3가 수주절벽 앞에서 매출이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음에도 3분기에 나란히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2분기에 희망퇴직 위로금 등을 일회성 비용에 이미 반영해 털어냈고, 대우조선은 이달부터 생산직 포함 희망퇴직을 진행 중이어서 대규모 비용이 드는 위로금이 4분기 실적에 반영되는 것도 영향이 있다.

다만 대우조선의 경우는 소난골 프로젝트의 인도 지연을 실적에 반영할지가 변수가 될 수 있어 보인다. 회계법인이 인도가 안 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이 비용을 충당금에 반영한다면 실적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까지 수주전망이 암울해 매출이 점점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당분간은 구조조정의 강도나 비용절감 규모에 따라 각 업체의 수익성이 좌우되는 상황이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