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정부 핀테크 육성정책 만족도 '향상'…"지원 확대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핀테크 기업들이 핀테크 육성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드러냈다. 정부의 핀테크 육성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위원회는 핀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 5명과 금융회사 6명, 전문가 5명을 상대로 정부의 핀테크 정책에 대한 심층인터뷰(FGI)를 진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 핀테크 기업 CEO들은 핀테크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영업환경이 개선되고 체계적인 정책이 시행돼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가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핀테크 지원센터도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국내 핀테크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다. 해외 데모데이, 해외 핀테크 지원기관과의 교류 등을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았다는 것이 공통 의견들이다.

반면 핀테크 서비스가 은행권에 치중된 측면이 있는 것 등 몇 가지 문제점도 제기됐다. 한 기업의 CEO는 “현재 핀테크 서비스는 은행권에 치중된 측면이 있어 인슈어테크(빅데이터·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보험설계 방식)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회사의 관심은 높아졌지만 기업이 느끼기엔 변화의 속도가 느린 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연구개발(R&D) 지원이 하드웨어 중심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기업은 지원 자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불만도 나왔다.

증권회사들은 정부가 핀테크 정책을 추진할 때 증권분야에 더 큰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했다. 이들은 은행의 예·적금, 대출 정보 등 빅데이터 공유, 로보어드바이저 비대면 일임계약 허용 등을 요구했다.

이외 금융회사들은 정부가 블록체인·가상화폐에 대한 입장을 명확하게 해주길 요구했다. 과도하게 책임을 묻는 조직문화의 개선과 법규를 준수한 경우 면책해주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제기된 의견들은 검토를 거쳐 향후 정책 방향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실태조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형연 기자 jh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