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밀착카메라] 들어갈 수도 없는데…주먹구구 '비상대피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재난에 대비한 재난대피소들. 시설이 잘 돼있는지, 평소에 제대로 관리를 해야겠지요. 전국에 있는 민방위대피소들 가운데 일부를 밀착카메라가 점검해봤습니다. 그런데 비상시에 사용하기 어려워 보이는 곳이 많았습니다.

안지현 기자입니다.

[기자]

재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재난 시 이용할 수 있는 대피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민안전처에서 만든 '안전디딤돌'이라는 앱을 통해서도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는데요.

제가 서있는 마포구청 앞에도 여러 개의 대피소가 검색이 되는데요.

실제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이나 지하철역 등 마포구에만 대피소 161곳이 마련돼있었습니다.

먼저 마포구청에 들러 이들 대피소의 정확한 위치를 물었습니다.

하지만 구청 직원조차 잘 모릅니다.

[마포구청 관계자 : 그건 확인을 해야할 것 같아요. 위치가 어디인지 그것만 알려주면 돼요.]

10분 만에 찾아낸 대피소는 바로 구청 지하주차장.

주차장 입구에는 대피소를 알리는 안내판이 붙어 있지만 이를 알아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최경순/서울 성산동 : 잘 안 보여요. (입구 안내) 방향도 없고 좀 그렇네요.]

모든 대피소에는 누구나 알아볼 수 있도록 안내판과 유도표지판이 부착돼있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앱에서 안내하는 아현동에 있는 민방위 대피시설로 찾아와 봤습니다.

바로 제 뒤에 보이는 이곳인데요. 그런데 입구 어디를 보더라도 대피소임을 알리는 안내판이나 유도표지판은 보이지 않습니다. 안쪽은 어떤지 들어가보겠습니다.

음악 연습실인 이곳의 직원들은 대피소라는 걸 몰랐다고 말합니다.

안내판이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동교동의 한 대피소 건물. 10m 앞으로 가면 대피소가 나온다는 유도표지판이 붙어있습니다.

하지만 유도표지판을 따라가 보니 지하공간 자체가 없는 주차빌딩이 나옵니다.

구청 확인 결과, 유도표지판이 잘못된 곳을 안내하고 있던 겁니다.

[마포구청 관계자 : 대피소 표시가 잘못돼 있다고 그러면 다시 부착하겠습니다.]

알고 보니 진짜 대피소는 주차빌딩을 지나 건물 뒤편에 마련된 지하 통신실이었습니다.

아예 들어갈 수조차 없는 대피소도 있습니다.

비상 대피소로 지정된 아현동의 또 다른 건물로 찾아와 봤습니다.

이 건물은 지하주차장을 대피소로 지정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그런데 24시간 열려있어야하는 대피소 출입구가 보시는 것처럼 닫혀있습니다.

[건물 관리인 : 저녁 7시 반이면 셔터 문을 내려. 형식적으로 (대피소 지정을) 해놓은 거지, 다.]

비상시 이용할 수 있게 출입구를 열어놓도록 하고 있지만 단순 권고일 뿐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서울시의 다른 구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대피소로 지정된 지하 PC방과 다방은 영업시간에만 열려있고, 교회 대피소 역시 예배시간에만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민간건물을 대피소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보니 관리가 안 되는 겁니다.

전국적으로 이처럼 민간건물을 대피소로 지정해놓은 경우는 면적으로 볼 때 전체의 83.5%에 이릅니다.

정부지원 대피소는 이보다는 강화된 기준에 따라 운영됩니다.

이곳은 군사 접경 지역인 경기도 김포에 있는 민방위 주민 대피 시설 앞입니다.

군사 접경 지역인 만큼 정부가 지원해서 만든 대피소인데요.

전국의 접경지역엔 이 같은 정부지원 대피소가 168곳 마련돼 있습니다.

지하에 마련된 대피소 입구 한쪽에는 보시는 것처럼 화장실이 마련돼 있습니다.

또 안쪽에 들어와 보시면 이처럼 비상 발전시설뿐만 아니라 한쪽에는 구급함도 마련돼 있습니다.

재난 상황은 미리 막을 수 없지만, 재난에 대비한 대피소만큼은 미리 갖춰놓을 수 있습니다.

안지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