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김현주의 일상 톡톡] 이젠 'OO'도 사람 차별한다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였습니다. 이런 저물가도 소비자 개인의 소득·연령별로 체감격차가 최대 2배 이상 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나 이로 인한 혜택을 고소득층이 누리고 있는 반면 저소득층은 소외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체감물가가 높은 이들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특히 식료품의 가격 안정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세계일보

#. 5년 전 직장에서 정년퇴직한 김모(61)씨는 요즘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TV를 시청하거나 등산을 하면서 보내고 있다. 중견기업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며 사회활동을 활발히 한 때도 있었지만, 요즘은 마을버스 요금도 아쉬운 상황이다. 김씨는 "매달 나오는 국민연금 등으로 생활을 하고 있다"며 "야채값 등 식료품 물가가 올라 아내와 장을 보러 마트에 갈 때마다 부담스럽다"고 토로했다.

최근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지만 소득이 높을수록 저물가 혜택을 더 많이 누리고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이런 혜택에서 소외된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 높을수록 저물가 혜택 더 많이 누려

6일 현대경제연구원의 '저물가의 가계 특성별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에 불과했다.

그러나 소득별로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에 맞게 가중치를 조정하면 소득이 적은 1분위의 물가 상승률은 1.1%였지만, 소득이 많은 5분위는 0.4%였다. 2분위와 3분위는 0.9%, 4분위는 0.7%였다.

즉, 고소득층일수록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것이다.

세계일보

이처럼 소득계층별로 물가가 다른 것은 소득이나 가구·연령에 따라 소비 품목이 다르기 때문이다.

1분위 가구는 식료품과 주거, 보건, 통신 부문 지출 비중이 크고 교육, 교통 지출 비중은 작았던 반면, 5분위 가구는 교통과 오락·문화, 교육 지출 비중이 컸고,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 지출 비중은 작았다.

◆고소득층일수록 체감 물가 상승률 낮아

주류·담배의 1분위의 물가는 0.8%P 올랐지만, 5분위는 0.4%P만 올리는 영향을 줬다. 식료품도 물가상승률 기여도가 1분위는 0.3%P였지만 5분위는 0.2%P였다.

반면 저유가의 영향으로 교통 관련 물가는 크게 떨어졌는데 이 혜택을 1분위는 -0.6%P만 누렸지만, 교통 분야 지출 비중이 큰 5분위는 -1.0%P의 혜택을 봤다.

세계일보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4년 동안 추이를 봐도 1분위 계층의 물가상승률이 5분위보다 높았고, 차이도 갈수록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가구 구성원으로 비교하면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저물가의 혜택을 크게 받았고, 1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지난해 가구원 수별 물가상승률을 추정하면 1인 가구는 0.9%였지만 2~4인 가구는 0.7%, 5인 이상 가구는 0.6%였다.

◆저소득층, 1인가구, 고령가구 등 식료품 물가에 민감해

가구원 수가 적은 가구는 주류·담배 물가에,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는 교육 물가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가구주 연령별로 △39세 이하는 교통, 주거, 오락·문화의 물가에 민감했고 △40대는 교육 △50대는 음식, 숙박, 통신 △60대 이상 고령 가구는 식료품과 주거, 보건 물가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처럼 가구 상황마다 물가상승률의 체감 정도가 달라서 보고서는 저물가 혜택이 적었던 저소득층과 1인 가구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저소득층과 1인가구, 고령가구는 식료품 물가에 민감하다"며 "농산물 계약재배 물량 확대, 대규모 출하시설 건설 등 가격 안정성을 높이고 유통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비 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중년 및 다인 가구를 위해 사교육비 책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식 물가와 체감 물가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비자물가지수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