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역학조사관 채용 '미달' 사태…포스트 메르스 '삐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메르스 사태의 후속 대책으로 의사 출신의 역학조사관을 모집하고 있지만 지원자가 모집 인원을 넘지 못하는 '미달'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역학조사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지원자가 적은 것은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을 뽑는데다 대우도 병원 등 다른 곳에 비해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방역당국은 지난 22일까지 '역학조사 담당 전문 임기제 공무원 경력 경쟁 채용'의 지원자를 접수한 결과, 모집 부문 중 6년 이상 경력 의사가 대상인 '가급'의 지원자가 모집 인원인 7명을 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면 5∼6년 정도의 경력이 생기는 점을 고려하면 모집 조건이 특별히 까다롭지는 않습니다.

보건복지부는 모집 공고를 내면서 역학조사 경험이나 관련 전공 등의 조건을 붙이지도 않았습니다.

상황은 다른 모집 분야인 '나급'이나 '다급'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복지부는 의사 자격증 소지 후 2년 이상 경력자, 간호학 박사학위자 등을 대상으로 한 '나급' 18명과 보건학·수의학·약학 학위 소지자 중 관련 분야 경력이 있는 사람이 대상인 '다급' 5명을 채용한다고 공고했습니다.

하지만 지원자는 1차 서류전형의 통과 기준선인 '3배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나급과 다급을 합친 지원자수는 50명에 조금 부족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원자가 미달된 가급에 대해 내년 1월4일까지 지원자를 추가로 받고 있지만 나·다급 채용은 예정대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메르스 사태 이후 역학조사관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진데다, 의학계에서도 역학조사와 관련 인력 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역학조사관 공모가 '흥행'에 실패한 것은 예상 밖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공모를 통해 채용할 공무원의 신분이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탓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방역당국은 당초 전문성을 갖춘 '정규직' 역학조사관을 뽑겠다고 했지만, 계획을 바꿔 계약기간 2년 후 3년 연장이 가능한 '임기제 공무원' 신분의 역학조사관을 모집한다고 공고를 냈습니다.

의료계에서는 계약직 역학조사관 채용이 역학조사 인력 강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 부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역학조사관은 34명으로, 이 중 정규직은 2명뿐입니다.

능력 있는 역학조사관 확충은 포스트 메르스 대책의 핵심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메르스 사태 당시 방역 대응에 참여한 전문가 A씨는 "전문의가 2년짜리 임기제에 굳이 갈 이유가 없다"며 "역학조사 경력이 계약 기간이 끝난 후 새로운 자리를 찾거나 진료를 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특히 그렇다"고 설명했습니다.

A씨는 "경력에 대한 평가나 보수 역시 낮은 편"이라며 "이런 식(계약직)의 채용이라면 의사 자신의 경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역학조사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가 정책적 지원을 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방의학을 전공한 B교수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전문 인력 자체가 부족하다"며 "감염병 역학 조사는 질병을 아는 사람이 필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역학, 특히 감염병 역학을 전공한 자는 매우 적다"고 말했습니다.

[류란 기자 peacemaker@sbs.co.kr]

☞ [모션그래픽] SBS 기자들이 직접 투표한 올해의 10대 뉴스

☞ SBS뉴스 바로가기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