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국 매체 ‘스퍼스 웹’은 10일(한국시간) "토트넘이 손흥민과 계약 협상에서 시간을 벌기 위해 연장 옵션을 발동할 준비를 마쳤다. 이번 시즌이 끝나기 전 손흥민과 장기 계약 합의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아쉬운 점은 손흥민의 현재 연봉 유지지만, 보너스 조항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기간은 1년 연장 계약에 합의한 뒤, 추가 2년 재계약까지 체결해 최대 2028년까지 토트넘에서 활약할 가능성이 크다. 손흥민이 35세가 되는 시점까지 토트넘 유니폼을 입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사실상 ‘토트넘 종신’에 해당한다.
최근 손흥민은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같은 빅클럽은 물론 튀르키예 명문 갈라타사라이 이적설까지 휩싸였다. 특히 갈라타사라이는 손흥민을 팀의 새로운 주포로 영입해, 현재 임대 중인 빅터 오시멘의 공백을 메우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퍼스웹’에 따르면, 손흥민의 에이전트는 "손흥민이 바르셀로나나 갈라타사라이로 이적한다는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손흥민은 여전히 토트넘과 계약 연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손흥민이 자유계약대상자(FA)로 팀을 떠날 것이라는 추측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재계약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토트넘은 손흥민이 팀의 상징적인 존재로 남기를 원하고 있다. 손흥민은 2015년 토트넘에 합류한 이후 현재까지 400경기 이상 출전하며 167골 88도움을 기록 중이다. 이는 그가 이미 구단 역사에서 가장 뛰어난 공격수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퍼스 웹은 "손흥민은 이번 시즌이 끝나기 전 구단과 장기 계약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현재 연봉을 유지하며 1년 연장 계약에 동의한 후, 2년 추가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는 손흥민이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같은 빅클럽의 관심을 받으면서도 여전히 토트넘과의 인연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리버풀의 모하메드 살라(32)는 최근 2년 재계약을 통해 프리미어리그 커리어를 연장했다. 살라는 리버풀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팀의 전설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 재계약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강하게 드러냈다.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 이후 살라는 “이번 경기가 리버풀에서 치른 마지막 경기일 수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거취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다. 이러한 발언은 사실상 리버풀 구단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됐다. 시즌 초반에도 “재계약과 관련해 구단과 논의가 없다”며 불만을 공개적으로 표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손흥민이 공개적으로 ‘작심발언’을 한 건 아니지만, 토트넘도 손흥민에게 살라와 유사한 대우를 제공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셈이다. 연봉 동결 조건으로 계약을 연장한다는 점이 아쉽지만 손흥민의 가치를 인정하고 토트넘 전설로 남길 수 있는 계약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 손흥민이 이 제안을 수락할 경우, 토트넘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며 팀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손흥민의 재계약은 단순히 한 선수와의 계약 연장을 넘어선다. 이는 다른 선수들에게 토트넘이 안정적이고 유망한 프로젝트를 제공하는 구단임을 증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이는 팀의 상징적인 선수를 유지함으로써 팬들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새로운 스타 플레이어를 영입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손흥민과 토트넘의 협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양측 모두 긍정적인 방향으로 대화를 이어가는 모양새로 보인다. 손흥민이 1+2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 2028년까지 토트넘에서 활약하며, 사실상 팀의 아이콘으로 남을 전망이다. 손흥민 개인에게는 물론, 토트넘 구단 전체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