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스페인·노르웨이·아일랜드 "28일부터 팔레스타인 국가로 인정" 공식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스라엘 즉각 반발···3개국 대사 소환해 항의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페인과 노르웨이, 아일랜드가 22일(현지 시간)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서방 국가들이 잇따라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전쟁을 강행하고 있는 이스라엘이 수세에 몰리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며 “팔레스타인인들은 독립 국가에 대한 기본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 역시 같은 날 “오늘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발표한다”며 “우리는 각각 이 결정을 유효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향후 몇 주 내 다른 국가들 역시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인정하는 데 동참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의회 연설을 통해 “스페인 내각은 28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승인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유럽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확산하자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네타냐후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세우는 것은 이스라엘에 ‘실존적인 위험’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부는 스페인과 아일랜드, 노르웨이 대사를 소환해 항의 의사를 표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역사는 스페인, 노르웨이, 아일랜드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인) 하마스 살인자들에게 금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한 것을 기억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X(옛 트위터)를 통해서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역내 테러와 불안 확신으로 이어져 평화에 대한 어떤 전망도 위태롭게 할 것”이라며 “이스라엘은 침묵하지 않을 것이며 더 심각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요르단강 서안을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와 하마스는 이들 국가의 결정을 환영했다.

지금까지 유엔 회원국 193곳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곳에 이른다. EU 내에서는 불가리아·체코·헝가리·폴란드·스웨덴 등 동·북부 유럽 9개 회원국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이밖에 슬로베니아와 몰타 등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다만 프랑스 등 EU 내 주요국들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유엔 총회의 경우 10일 팔레스타인이 유엔 헌장에 따라 정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검토를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또한 팔레스타인에 유엔 총회 회의나 각종 유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예외적인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팔레스타인은 2011년에도 독립국 지위를 얻기 위해 유엔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이후 이듬해인 2012년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단체(entity)에서 옵서버 국가(state)로 승격해 현재까지 이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정혜진 기자 sunse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