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세션···“AI 안전·혁신·포용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AI 서울 정상회의’ 2일차인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장관 세션’이 열린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가 공동 개최한 ‘AI 서울 정상회의·AI 글로벌 포럼’ 둘째날 ‘장관 세션’에서 28개국이 동참한 ‘안전, 혁신, 포용 증진을 위한 서울 장관 성명’을 채택했다. 전날 정상 합의 문서인 ‘서울 선언’에 제시된 비전을 이행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과 글로벌 공조 방안을 구체화했다.

22일 서울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열린 개회식에서 한덕수 총리는 “‘서울 선언’은 안전, 혁신, 포용이라는 AI 글로벌 거버넌스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며 “일관성 있고 상호운용 가능한 AI 국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해 나가는데 한국이 노력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관 세션’에선 공동개최국인 한국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영국 미셸 더넬란 과학혁신기술부 장관 주재로 미국·일본·프랑스·독일·캐나다·호주·유럽연합·UN 등 21명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삼성전자·SK텔레콤·LG AI연구원·구글 딥마인드·앤트로픽 등 국내외 기업과 학계, 시민사회까지 22명의 주요 인사도 참여했다.

전날 언급된 ‘AI 안전 연구소’의 글로벌 협력 방안과, 에너지·환경·일자리 분야에서 AI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회복 탄력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를 토대로 채택된 ‘서울 장관 성명’에는 최근 AI 확산에 따른 막대한 전력 소모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AI·반도체 비전도 포함됐다.

정부는 최근 AI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가 영미권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상황에서 비영미권인 한국에서 ‘AI 정상회의’를 주최한 데 대해 큰 의미를 부여했다. 이종호 장관은 “지난해 블레츨리와 이번 서울에서의 성과를 내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AI 행동 정상회의로 이어나갈 있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더넬란 장관은 “앨런 튜링이 ‘지금 보는 것은 미래에 벌어질 일의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말한 것처럼 앞으로 AI 위험을 대응하기 위해선 사회적 시스템에 회복력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번 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AI 안전 연구소’와 같은 연구·감독 기관 설립에도 뜻을 모았다. 영국과 미국에 이어 한국도 올해 중에 AI 안전 연구소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설립할 계획이라고 이종호 장관은 밝혔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