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서울 정상회의 개막…AI 안전·혁신·포용 담긴 '서울선언' 발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2일 KIST서 장관 세션 및 AI 글로벌 포럼 예정

뉴스1

(AI 서울 정상회의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인공지능(AI)이 가진 위험성 이외에 긍정적인 측면과 인류사회에 기여할 혜택까지 균형 있게 포괄한 글로벌 AI 규범이 서울에서 논의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한국과 영국이 공동 주최한 'AI 서울 정상회의'가 열렸다고 밝혔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처음 열린 'AI 안정성 정상회의'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회의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행사명이 AI 서울 정상회의로 바뀌고 AI 안전에서 혁신과 포용까지 확대된 것은 디지털 권리장전을 토대로 우리와 국제사회가 거버넌스를 가져가야 할 범위가 안전에만 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자 우리가 기여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미래로'라는 주제로 한 정상세션은 윤석열 대통령과 리시 수낙 총리 주재로 이날 저녁 8시30분부터 90분간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세션에는 주요 7개국(G7)과 싱가포르, 호주 정상, 국제연합(UN),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수장을 비롯해 슈미트 전 구글 CEO와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 이해진 네이버(035420) 설립자, 해외 빅테크 기업의 대표 등 10명이 참석했다.

회의 직후엔 정상급 합의 문서인 '서울 선언'이 발표됐다. 이를 통해 AI 안전뿐만 아니라 혁신과 포용이 AI 거버넌스의 3대 목표로 제시됐다.

송 정책실장은 "2022년 9월 뉴욕 구상, 2023년 6월 파리 이니셔티브, 같은해 9월 디지털 권리장전 등을 통해 펼쳐왔던 우리의 AI·디지털 비전을 글로벌 이니셔티브와 규범으로서 정립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서울 선언의 부속서로 'AI 안전 과학 국제협력을 위한 서울 의향서'도 채택됐다. 여기에는 AI 안전 연구소간 네트워크 구축과 함께 AI 안전에 관한 과학적 접근방식이 포함됐다.

다만 국내에서 AI 기본법이 아직 제정되지 않은 상황과 관련해 송 실장은 "각국의 사정에 따라 규범을 만들고 있다"며 "한국 정부도 최대한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22일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의 장관세션이 열린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미셸 더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공동 의장을 맡으며, 19개국 이상의 정부, 산업계, 학계 및 시민사회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한다. 세션 주제는 'AI 안전성 확립 역량 강화'와 '지속가능한 AI 발전 촉진' 등 이다.

이밖에 우리 정부가 단독으로 주최하는 'AI 글로벌 포럼'도 진행된다. 이중 오후 전문가 세션은 유튜브로 생중계될 예정이다.

flyhighr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