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개청 앞두고 막바지 리모델링… 우주강국 도약 ‘카운트다운’ [밀착취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출범 우주항공청 임시 청사 가보니

인공위성·항공혁신부문 등 입주

우주산업 원스톱 지원 가능 배치

KAI·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접

우주인재 정주여건 개선 ‘이상 무’

우주항공복합도시 설립도 나서

22대 국회서 관련법 재추진 계획

20일 찾은 경남 사천시 한국우주항공청 임시 청사는 개청을 일주일여 앞두고 막바지 리모델링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었다. 푸른 남해와 맞닿은 8층 규모 임시 청사가 대한민국 우주개발 청사진을 그릴 공간으로 대변신하는 것이다. 청사 도착 전 사천읍을 지날 때 마주한 새로 설치된 도로 안내표지판에는 ‘우주항공청’ 이정표가 새겨져 있었다. 사천이 한국 우주 시대의 중심지로 새로 태어났다는 상징처럼 보였다.

세계일보

준비 착착… 22일 외벽에 ‘우주청’ 간판 27일 개청을 앞둔 경남 사천의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모습.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우주청은 22일 외벽에 간판을 걸고 막바지 개청 준비 작업에 들어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주청과 우주항공복합도시 출범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우주청 개청일은 27일이다. 수도권과 거리가 멀고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일각의 지적이 무색하게 이날 찾은 우주청사와 주변 지역은 만반의 준비를 마치려는 손길로 활기가 넘쳤다.

우주청 임시 청사는 우주청장과 차장, 임무본부장실뿐만 아니라 인공위성부문과 우주과학탐사부문, 항공혁신부문, 우주수송부문, 임무지원단, 우주항공산업국이 모두 들어와 한국 우주산업을 위한 ‘원스톱’ 지원을 가능하도록 배치됐다.

현재는 임시 청사의 전 주인이었던 아론선박비행산업의 간판이 걸려 있지만 22일 우주청 간판이 올라간다. 주변에는 국내 우주항공 대표 기업이 다수 자리해 있다. 우주청 임시 청사는 한국 항공산업 핵심 포스트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는 차로 10여분 떨어진 거리에 있고, 조금만 더 멀리 가면 창원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있다.

세계일보

지난 20일 오후 경남 사천시 사남면에 위치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내부가 언론에 공개됐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곳은 본 청사가 건축되기 전까지만 쓰일 곳이다. 이날 사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재형 우주청 설립 추진단장은 “공사 기간 단축과 조속한 업무 환경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임시 청사 입주 때까지) 5년 내외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사천시 등 지방자치단체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금까지 우주청 출범과 관련해 최대 단점으로 꼽혀온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발 벗고 뛰는 중이다. 이들은 당장 사천으로 이주하는 직원들이 지낼 집을 모두 확보했다. 과기정통부가 180여채, 사천시가 50여채를 확보해 사천으로 이주하는 직원들의 초기 정착을 지원한다. 우주항공청 정원은 293명이지만, 제주에 있는 우주환경센터 정원 50여명을 제외한 240명이 사천에 근무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4인 가족 이주 지원금액을 가구 기준 최대 3010만원 규모로 지원한다.

이날 우주청 개청을 계기로 한 우주항공복합도시 설립 추진 계획도 공개됐다. 우주청을 중심으로 복합문화시설을 건설하고 삼천포 인근에는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호텔과 콘도, 리조트 조성 사업을 추진하는 게 구상의 골자다.

세계일보

개청을 앞두고 지난 20일 미리 청사를 둘러본 취재진이 청사 내부에서 외부 바다 쪽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천시 관계자는 “210만평 규모의 산업·주거·연구·행정 시설에 대한 구상은 이미 끝났다”며 “다른 연구기관에서 이주해 오는 공공기관에 대한 지원도 우주청 수준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우주청 개청과 함께 한국 우주항공 산업의 본격 도약이 시작될 전망이다. 윤석열정부는 2045년까지 세계 우주항공 시장 10%를 장악해 관련 산업 규모를 420조원 대로 키우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다만 지난해 발의된 우주항공복합도시 특별법이 21대 국회에서 통과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또 향후 우주산업 관련 기업들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을 통해 산업단지에 우주기업들을 대거 유치해야 하는 점도 숙제로 남아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우주항공복합도시특별법은) 22대 국회에서 1호 법안으로 재발의, 재추진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며 “지자체와 국회가 힘을 모아 잘 풀어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천=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