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피자 두 판에 9000억?" 14년 전 그날 비트코인으로 한 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0년 1만 BTC로 파파존스 피자 두 판 거래 성공

14주년 맞은 'BTC 피자데이'

비트코인으로 현물 거래가 이뤄진 최초의 사례

업비트·빗썸, '피자데이' 맞아 피자 제공 이벤트 진행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매년 5월22일을 ‘비트코인 피자데이’라고 부른다. 피자와 비트코인이 대체 무슨 연관성이 있을까? 답은 간단하다. 비트코인으로 구매한 최초의 현물이 바로 피자 두 판이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비트코인이 현실에서 사용가치가 있음을 최초로 증명한 사례가 바로 피자다.

이데일리

2010년 라슬로 한예츠(Laszlo Hanyecz)가 올린 인증사진(사진=CBS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10년 5월18일. 미국 프로그래머 라슬로 한예츠(Laszlo Hanyecz)는 ‘비트코인 포럼’에 라지 사이즈 피자 두 판을 보내주면 1만비트코인을 지불하겠다는 글을 올린다. 비트코인이 실물 화폐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실험해보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 4일 후인 5월22일 오후 라슬로는 거래에 성공했다고 밝히며 파파존스 라지사이즈 피자 두 판이 식탁 위에 올려져있는 인증 사진을 올렸다.

다만 파파존스 가게에서 비트코인 결제를 받아준 것은 아니다. 라슬로의 글을 본 한 영국의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카드로 플로리다 내 피자 가게에 주문을 하고 라슬로에게 비트코인을 받는 일종의 중개거래 방식으로 이뤄졌다. 당시 1비트코인의 가치는 0.003달러로, 그가 지불한 금액은 약 41달러다.

라슬로가 만약 피자를 사먹지 않고 비트코인을 갖고 있었다면 어땠을까. 20일 오후 3시37분 기준 가격이 1비트코인당 6만7036달러란 점을 감안하면 약 9100억원(미화 6억7036만달러)에 달한다. 이를 두고 일부 사람들은 피자를 사먹지 않고 갖고 있었다면 돈을 벌었을 것이라며 조롱하기도 했다.

그러나 라슬로는 이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5월21일 한 인터뷰에서 라슬로는 “오픈소스 인터넷 화폐를 현실 세계의 재화와 맞바꿨다고 말할 수 있다면 정말 멋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후회하지 않는다. 피자를 사지 않았다면 8000만달러(2019년 당시 가격 기준)를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좋을 것이 없다”고 말했다.

비트코인 최초의 현물거래를 기념하는 피자데이를 맞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도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두나무가 운영하는 업비트는 ‘2024 업비트 피자데이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이벤트는 5월22일 오후 2시부터 오후 11시59분까지 열린다. 크게 ‘피자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드롭스’와 퀴즈로 구성됐다. 피자 NFT 드롭스는 업비트 내 홈페이지에 접속해 ‘선물 받기’ 버튼을 누른 선착순 2024명에게 5만원 상당 도미노 피자를 기프티콘 형식 NFT로 지급하는 행사다.

업비트 공지사항에 연결된 이벤트 페이지에서 퀴즈 8개를 풀어 모두 맞춘 만점자 중 2024명을 추첨해 1BTC를 차등 지급하는 퀴즈 이벤트도 연다. 참여 횟수는 1인당 1회다.

빗썸도 피자데이를 기념하는 룰렛 이벤트를 이날(20일)부터 오는 26일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총 4만원 상당의 피자 2024판을 당첨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매일 최대 10명이 100만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꾸민 ‘꽝 없는 룰렛’을 활용한 이벤트로, 1일 최대 6회까지 참여할 수 있다. 혜택은 오는 6월5일 일괄 지급된다.

문선일 빗썸 서비스총괄은 “올해도 빗썸 회원들과 가상자산의 가치와 의미를 나누기 위해 피자데이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빗썸은 회원들에게 더 많은 혜택과 즐거움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