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AI 전략최고위협의회 ‘R&D 분과’ 발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관의 AI R&D 방향 종합 논의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IITP) 등과 함께 20일 ‘AI전략최고위협의회 AI R&D 분과’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

AI전략최고위협의회는 상호 연계되고 통합된 시각에서 국가 전체 AI 혁신의 방향을 이끌 거버넌스 차원에서 출범한 협의회(공동위원장 : 과기정통부 장관, 태재대 염재호 총장)다.

R&D 분과 1차 회의는 과기정통부 이상민 인터넷진흥과장과 분과장인 연세대 조성배 교수를 비롯한 R&D 분과위원, ICT R&D 전문기관인 IITP 담당자 등 20여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AI전략최고위협의회 R&D 분과의 운영방향 및 향후계획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상황 속 AI R&D 이슈 ▲AI-반도체 이니셔티브내 주요 AI R&D 과제 추진방향 등이 발제된 데 이어, 참석한 위원들 간 민관의 AI R&D 방향 등에 대한 심도있는 토론을 했다.

AI전략최고위협의회 R&D 분과는, 향후 격월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수시 운영하고, AI R&D를 중심으로 하되 범위 제한 없는 자유로운 의견 개진의 장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IITP) 등과 함께 20일 ‘AI전략최고위협의회 AI R&D 분과’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 이상민 인터넷진흥과장이 참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의 폭발적 잠재력과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력은 더욱 예측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우리 일상과 사회 전반에 보다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AI R&D에 대한 전략적 접근, 심도 있는 논의, 속도감 있는 이행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의 중지(衆智)를 모아 AI R&D가 우리나라 미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핵심동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D 분과 위원으로는 조성배 연세대 교수, 이경무 서울대 교수, 류석영 KAIST 교수, 이성환 고려대 교수, 이종욱 성균관대 교수, 조민수 포항공대 교수, 박종열 서울과기대 교수, 김인중 한동대 교수, 김영길 ETRI 본부장, 신사임 KETI 센터장, 임화섭 KIST 단장, 안범모 KITECH 부문장 등이 참석했다.

업계에서는 노주환 에스디플렉스 대표,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박석준 투디지트 대표, 임우형 LG AI 연구소 그룹장, 배순민 KT AI2X 소장, 김준범 네이버클라우드 책임리더, 이활석 업스테이지 CTO, 안준환 마인즈랩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