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어디서 왔나… 1년에 새끼 460마리 낳는 '독도 불청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쥐, 2010년 이후 포착 빈도 늘어
섬으로 접근한 선박 통해 유입 추정
번식력 강해 박멸 시도했다 부작용
당국 "장기간 방제... 멈춰서도 안돼"
한국일보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생태계 교란종인 집쥐가 급증하고 있어 환경당국이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독도에서 집쥐가 처음 발견된 건 2010년이다. 당시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때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되면서 공식 확인됐다. 동도에서는 2015년부터 집쥐가 확인됐다. 인간과 독도경비대에서 기르는 삽살개와 지난해 3월 관찰된 물개 한 마리를 제외하면 현재 독도에서의 서식이 확인되는 포유류는 집쥐가 유일하다.

독도 내 집쥐 수는 2021년 기준 100~150마리로 추산됐다. 다만 집쥐 포착 빈도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5~10월 독도에 설치돼 운영된 5대 무인센서 카메라 영상 2만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총 716회 포착됐다. 특히 집쥐가 다수 서식하는 걸로 알려진 서도 주민 숙소 부근 포착 비중이 50.14%(359회)로 가장 많았다.

배설물이나 굴 등 집쥐 흔적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 지난해 세 차례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1차 때 동도에선 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헬기장 등 7개 지점에서 집쥐 배설물이 확인됐다. 태양광 발전시설과 등대 주변에선 집쥐가 판 굴도 확인됐다. 서도에서도 5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어민 숙소 뒤편에서 굴이 확인됐다. 2, 3차에서도 여러 장소에서 배설물과 굴이 관찰됐다.

집쥐가 육지(경북 울진군)에서 200여 ㎞나 떨어진 독도로 들어온 경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독도에 사람과 짐을 싣고 들어온 선박을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헤엄을 잘 친다는 특성상 배가 독도에 정박하지 않고 접근만 하더라도 섬에 도달할 수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집쥐 박멸보단 적절한 관리에 초점을 맞춰 방제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집쥐는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까지 낳을 만큼 번식력이 강해 박멸이 사실상 어렵다. 박멸을 목표로 방제 작업을 벌였다가 부작용을 겪은 적도 있다. 2018년 정부와 민간 단체가 동도와 서도에서 무리하게 집쥐 방제를 시도한 결과, 집쥐가 일시적으로 사라졌다가 2019년부터 재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집쥐 활동 영역과 출현 빈도가 늘어난 만큼 빨리 방제 전략을 세워 방제해야 한다"며 "방제기간이 단기간이어선 안 되며, 중간에 멈춰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