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지구온난화로 줄어드는 ‘바다의 산삼’”…충남도, 해삼 생산량 100%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6년까지 보령·태안에 288억 투입

경향신문

해삼. 충남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삼은 ‘바다의 산삼’으로 불리며 주목받고 있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최근 수년간 생산량이 크게 줄고 있다. 충청남도가 서식장 조성 등을 통해 앞으로 3년 내에 도내 해삼 생산량을 2배로 늘리기로 했다.

충남도는 2026년까지 288억원을 투입해 보령·태안 해역에 친환경 해삼 산란·서식장을 조성한다고 20일 밝혔다.

해삼은 단백질·칼슘·칼륨 등 풍부한 영양성분으로 영양학·의학적 가치가 높고, 독특한 식감과 맛을 지녀 바다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충남에서 생산되는 해삼은 국내 최고 품질을 인정받고 있으며, 보령·태안 지역에서 생산되는 돌기해삼은 중국에서의 선호도가 높아 대부분 수출되고 있다.

보령·태안 해역은 연중 4~25도의 냉수대가 유지되는 지역이다. 해삼은 19도 안팎의 수온에서 식욕이 왕성하고, 10도 정도에서 운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2019년 6만7242톤(t)에 달하던 충남 지역 해삼 생산량은 2021년 6만5756t, 2022년 5만8428t, 지난해 5만2415t 등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기후변화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해삼은 냉수대에서 서식하는데,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높아지면서 전국적으로 해삼 생산량이 줄고 있다는 내용의 연구보고서가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충남도는 이에 대응해 성체 해삼과 어린 해삼을 입식하고 해삼 생태에 맞는 서식 환경을 조성한 뒤 해삼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지역 해삼 생산량을 향후 3년 내 연평균 100% 정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장진원 충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지속가능한 해삼 양식산업을 육성해 어업인 소득을 늘리고 청년들이 돌아오는 어촌을 만들겠다”며 “충남 수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서도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정의 기자 justic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