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인터뷰]박경국 가스안전공사 사장 "내년부터 100명씩 은퇴…해외 기술자문 수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스안전공사 창사 50주년…취임 5개월차 인터뷰

안전사고 급감하다 90건 내외 정체…작년 20%↑

안전관리 디지털화 시점…5개월 내 로드맵 제시

뉴시스

[세종=뉴시스]박경국 가스안전공사 사장이 14일 충북 음성군 본사에서 뉴시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출처=가스안전공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이승주 기자 = 올초 강원 평창군에서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시설 가스가 폭발하면서 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10년 꾸준히 줄어들던 가스 안전사고가 지난해 다시 약 20% 늘어난 것을 시작으로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가스 사고는 총 92건이다. 인명피해도 2년 만에 약 26.15% 증가했다. 과연 이유가 뭘까? 정체된 안전 관리에 새로운 국면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가스안전의 총 책임을 맡고 있는 박경국 가스안전공사 사장은 지난 14일 충북 음성군에서 진행한 뉴시스와 인터뷰에서 그 해답을 디지털에서 찾았다. 그는 "더 이상 아날로그 식의 안전 관리로는 부족하다. 디지털 전환이 필요할 때"라며 "5개월 내 그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가스 안전사고는 그동안 공사의 노력 등으로 지난 20년 가까이 감소세를 보여왔다. 지난 1995년 577건에서 2022년 73건으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최근 10년 간 사고 건수는 90건 내외에서 정체된 상태다.

심지어 지난해에는 두자릿수 증가율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 박 사장은 "대다수 사건이 엔데믹 이후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이 안전 수칙을 지키지 못한 데서 벌어졌다"며 "이들 사건은 공사의 안전 관리 밖의 영역이지만, 대국민 안전 의식을 높여 그마저도 줄이기 위한 홍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박경국 가스안전공사 사장이 14일 충북 음성군 본사에서 창사 50주년을 맞아 뉴시스와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출처=가스안전공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 사장은 공사 창립 50주년인 올해 1월2일 취임했다. 그런 만큼 임기 내 향후 50년 간 안전의 새 국면을 맞이할 시스템 전환을 이룰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안전관리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응대할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며 "현재 디지털 혁신처를 만들었고 기본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어느 부분을 디지털로 바꿀지, 어떤 장비를 활용할 지, 종합적으로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온라인 시스템 자체를 고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미 민간 가스업계 현장 곳곳에는 디지털을 접목해 활용 중이다. 이에 "아날로그를 고집해서는 4~5년 내 도태된다. 굴뚝에 올라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게 아닌 드론을 띄워 점검하고 디지털로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메타버스부터 인공지능(AI), 로봇까지 신기술을 안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이 때 각 분야에서 직무는 어떻게 바꿀 것인지, 그 방법은 통합형일지 분산형일지 등 치열하게 고민 중이다. 그 구체적인 로드맵은 10월 내 나온다"고 전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취임 1주년인 만큼 젊은 직원의 사기 진작과 은퇴를 앞둔 전문 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도 털어놨다. 그는 "그동안 안전관리 전문기관으로 주력하느라, 사내 문화를 만드는데 소홀했다는 토로도 있었다"며 "임직원들의 열정을 끌어낼 공통 가치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연 우리 심장을 두드릴 가치는 무엇일까. 사장인 내가 직접 정하기 보다 직원들에게 묻는 게 좋겠다 싶어 이번 공모를 추진하게 됐다. 많은 직원들이 투표에 응했다. 소명, 최고, 열정, 선도 등을 두고 현재 진행 중인데, 전 개인적으로 '소명'이 마음에 들더라. 우리 공사는 국민들에게 안전 관리의 소명을 부여 받지 않았나. 하지만 젊은 직원들이 최종적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공사는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가족의 달인 5월 가족들에게 청사를 개방했다. 박 사장은 "우리 직원들이 집에 가면 누군가의 어머니이자 아버지이지 않나. 가족들이 직접 일터를 보면 힘이 나겠다 싶어 결정했다"며 "내년에는 어버이날에 부모님에게도 개방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박경국 가스안전공사 사장이 14일 뉴시스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출처=가스안전공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퇴 기수의 고숙련 전문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전세계에 안전기술과 법령, 체계, 코드, 시스템 등이 우리보다 못한 곳이 많다. 그만큼 우리 공사의 안전기술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이란 뜻이다. 해외에서 기술을 자문하면 세계적인 에너지 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어 "94~96사번이 내년부터 100명씩 대거 은퇴를 시작한다. 이들이 해외에서 기술 자문을 할 수 있도록 올해 시범적으로 한 두 국가와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들을 통해 가스안전 전문 인력의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총선에서 야당이 압승하면서 속도 내던 가스안전 사업에는 문제가 없을까. 그는 "안전 관련 개정안 법령이 21대 국회 때 계류된 게 있지만 폐기된 건 없다. 22대 국회 때 손 봐야 할 법안이 7~8개 있지만, 안전 관련 법안은 여야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의원들과 잘 상의해서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oo47@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