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윤 대통령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가 오월정신”…헌법 수록은 언급 안 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어머니 회원들의 손을 잡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3회 연속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오월 영령과 유족을 위로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도 제창했다. 하지만 광주시민의 염원인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는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렸다. 기념식에는 윤 대통령과 5·18 유공자·유족, 정관계 인사 등 2500여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5·18유공자·유족과 손을 맞잡고 ‘민주의 문’을 통과했다. 방명록에는 “우리의 자유와 번영, 미래를 이끄는 오월 정신”이라고 썼다.

윤 대통령의 이번 기념식 참석은 2022년부터 3년 연속이다. 보수 정권 대통령으로선 처음이고, 역대 대통령 중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이어 두 번째다.

기념식은 국민 의례와 여는 공연,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5·18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선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은 윤 대통령의 공약이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의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며,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오월의 정신으로 자유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워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전혀 부족함이 없는 정치적 자유와 인권을 누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를 빠르게 성장 시켜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복원하고, 국민이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수준을 더 높이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으로 끝을 맺었다. 윤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오월어머니들와 손을 잡고 흔들며 제창했다.

약 50분간 진행된 기념식은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 마무리 됐다. 행사 중간 광주시의회 의원 8명이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이라고 적힌 소형 현수막을 흔드는 기습 시위를 벌였지만 이를 제지하는 등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5·18 단체장, 유족 등과 박금희·김용근·한강운 열사의 묘소를 차례로 참배한 뒤 5·18민주묘지를 떠났다.

고귀한 기자 go@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