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고마워요 중국” 사상 최고가에 도전하는 금값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金) 사상 최고가 눈앞 원자재 투자자 웃음
금 선물가격 1.3% 올라···중국 부양효과 호재
다우지수 종가기준 사상 처음 4만선 돌파 기염
소비 제조업 모두 건재···월마트 캐터필러 상승


매일경제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골드바와 금제품이 전시되어 있다. [사진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값이 다시 사상 최고가에 도전하고 있다. 은과 구리 등 다른 원자재 가격도 동반 랠리를 펼치면서 원자재 투자자들이 웃음짓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도 종가 기준 사상 처음 4만선을 돌파하며 마감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34.21 포인트(0.34%) 오른 40003.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17 포인트(0.12%) 오른 5303.2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2.35 포인트(-0.07%) 내린 16,685.9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전날 오전 장중 4만선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매일경제

다우지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월마트(1%), 캐터필러(1.58%)가 1% 넘게 상승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두 주식은 각각 미국의 소매판매와 제조업(건설)의 상징과도 같은 기업들로 미국 경기가 건재함을 알린 셈이다.

다우지수는 이번 주 들어 1.2% 상승하며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이번 주 들어 1.5%, 2.1% 상승했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반등이 우려됐던 인플레이션 지표가 다시 둔화한 게 뉴욕증시 강세를 뒷받침하는 핵심 동력이 됐다.

톰 헤인린 US뱅크자산운용 수석 투자전략가는 “경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둔화의 조합은 완벽한 촉매제”라며 “증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이 역사적인 수준보다 다소 높지만 기업이익 증가세와 이익의 안정성 또한 역시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중국의 호재 덕분이다.

중국의 부동산 대책에 힘입어 원자재 최대 수요처인 중국의 경기 반등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자재 가격도 랠리를 펼쳤다는 것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2417.4달러로 전장보다 31.9(1.3%)달러 올랐다.

금 선물은 전날 장 중 한때 2400달러 선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 12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온스당 2448.8달러) 경신을 다시 시도하는 분위기다.

은과 구리 가격도 크게 올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은 선물 종가는 온스당 31.26달러로 전장보다 1.38달러(4.63%) 오르며 2013년 1월 이후 약 11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7월 인도분 구리 선물 종가는 파운드당 5.05달러로 전장보다 17.3센트(3.6%) 올랐다.

바트 멜렉 TD증권 수석 원자재 전략가는 “금은 달러화와 채권 수익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강세를 펼치고 있다”며 “다른 원자재 금속도 강세를 보인 것으로 볼 때 중국의 부양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