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중국, 양손에 모두 떡 쥘 순 없다"... 역시나 '푸틴 편에 선 시진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관계 개선 원하면 러 지원 중단"
시진핑, '서방 요구 외면' 러 지원 고수
푸틴 "파리 올림픽 휴전안 논의했다"
한국일보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6일 중국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비공식 정상회담을 마친 후 포옹하고 있다. 베이징=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지켜본 미국 등 서방이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드러냈다.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 중인 시 주석이 러시아와 적절한 거리를 둘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여전히 러시아 편에 선 모습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베단트 파텔 미국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16일(현지 시간) "중국이 유럽과의 좋은 관계를 원한다면 유럽 안보에 최대 위협인 러시아를 지원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미국만이 아닌 주요 7개국(G7),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유럽연합(EU) 내 우리의 파트너들이 공유하는 입장"이라며 "중국이 양손에 모두 떡을 쥘 수는 없다(can’t have its cake and eat it too)"고 강조했다.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바라는 중국이 유럽 안보를 위협하고 있는 러시아와 결속을 강화하고 나선 데 대한 불만과 실망을 나타낸 것이다.

"시진핑, 푸틴 체면 살려주기 급급"

한국일보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16일 중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베이징=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이날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공동성명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내 미국의 전략과 나토의 파괴적 행위가 이 지역 평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사실상 미국·나토를 중러의 공공의 적으로 규정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에 대해선 "최선의 형태로서의 대화 중요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안보 불가분의 원칙'을 고수한다는 입장도 함께 적시했다. '다른 나라의 안보를 희생해 자국의 안보를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안보 불가분의 원칙은 나토의 동진(東進)을 반대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사용돼 왔다. 결국 두 정상이 언급한 '대화'는 외교적 수사에 그친 것으로 평가된다. 수전 손턴 전 미 국무부 차관보는 AP통신에 "중국은 (유럽 안보 상황에 대해) 어떤 말이나 구체적인 약속도 하지 않았다"며 "그저 러시아 체면을 살려주기에 급급했다"고 평가했다.

푸틴 "파리 올림픽 휴전 논의했다"... '동의' 여부는 불분명

한국일보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블라디미르 푸틴(아랫줄 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17일 중국 하얼빈 공항에 도착해 관계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하얼빈=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두 정상은 최근 프랑스 정부가 제안한 '파리 올림픽 기간 중 휴전' 문제도 논의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방중 이틀째인 17일 헤이룽장성 하얼빈을 방문한 자리에서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올림픽 휴전'이 거론됐느냐"는 자국 기자 질문에 "그렇다. 시 주석이 이를 말했고, 우리는 이에 대해 논의했다"고 답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이 언급한 '논의'가 '휴전 동의'를 뜻하는 것인지는 현재로선 불분명하다.

영국 BBC방송 등은 "이번에 나타난 중러 간 결속은 '무제한적'으로 보이지는 않았다"고 짚었다. 두 정상이 2022년 2월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가진 정상회담에서 공식화한 '중러 간 무제한 협력'이라는 표현이 이번 회담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는 이유다. 서방의 비판적 시각을 고려해 시 주석 나름대로 러시아와의 협력 수준을 낮출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남긴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

미국 제재 대상 대학 방문한 푸틴

한국일보

블라디미르 푸틴(앞줄 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17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개막한 러시아-중국 엑스포를 관람하고 있다. 하얼빈=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 속 작은 러시아'로 불리는 하얼빈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중러 간 결속에 집중했다. 그는 제8회 러시아·중국 엑스포 개막식 참석 뒤 하얼빈공업대학을 찾았다. 하얼빈 공대는 미국 미사일 기술 이용 혐의로 2020년 미국 상무부 제재 목록에 오른 곳이다.

이날 하얼빈행에는 알렉산드르 노박 에너지 분야 부총리, 안톤 실루아노프 재무장관, 국영 에너지회사 로스네프트의 이고리 세친 최고경영자 등 러시아의 경제 분야 관리·기업인 20여 명이 동행했다. 중러 간 천연가스 등 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peoplepeopl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