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정신아 카카오 대표, 첫 주주서한…"매년 2억원 주식 매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년 2월과 8월 실적 발표 후 주식 장내 매입"

"글로벌 사업 확장과 AI로 장기 성장 방향성 설정"

"AI 기반 챗봇 서비스 준비 중, 효율성 증대 등 목표"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매년 2억원 규모 주식을 장내 매입하고, 인공지능(AI)과 글로벌을 축으로 성장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카카오)


17일 카카오에 따르면 정 대표는 전날 주주들에게 보낸 첫 서한을 통해 “매년 두 차례에 걸쳐 각각 1억원 규모의 주식을 장내 매입할 예정”이라며 “매입한 카카오 주식은 대표 재직기간에 매도하지 않고 주주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려 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서한을 보낸 16일 실제로 장내 매수를 실행했다. 향후에는 매해 2월과 8월 실적발표를 마친 뒤 매입할 예정이다.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주주 수익률 기반 보수 체계도 설정했다. 정 대표는 “보수의 약 60%인 상여는 장단기 성과급으로 구성돼 있다”며 “그 중 단기 성과급은 당해 사업의 주주수익률, 장기성과급은 3개년간의 주주수익률을 기반으로 산정된다”고 설명했다.

향후 성장방향성으로는 AI와 글로벌을 꼽았다. 정 대표는 “카카오는 글로벌 사업 확장과 AI 두 축으로 장기 성장 방향성을 설정했다”며 “카카오의 핵심 가치와 부합하면서 기존 주요 사업 대비 더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했다.

AI와 관련해서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대표는 “카카오는 AI 기반 챗봇 서비스를 통한 전문가 상담, 고객 관리,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을 이미 준비 중”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 고객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AI가 사용자의 일상에 더욱 가까워지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 카카오가 사회적 눈높이에 맞춰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 기업의 규모에 걸맞은 지배구조 및 의사결정 체계를 정립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올해 초 외부 투자 프로세스를 강화했다. 지난 4월에는 후보자 명단 구성부터 인사 검증까지의 절차를 강화한 경영진 임면 프로세스를 구축한 바 있다. 또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외부 독립기구인 준법과신뢰위원회와 지속 소통하고 검증 받으며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