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나토 “러, 하르키우 돌파하기엔 병력 뿐 아니라 기술·역량 부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 2024년 4월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제43기계화여단 소속 포병들이 155mm 자주포 2C22 ‘보다나’로 러시아군 진지를 향해 발포하고 있다. / 사진=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러시아군이 병력 부족으로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인 하르키우주(州) 전선에서 전략적의로 의미 있는 성과를 내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 통신, 폴리티코 유럽판 등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카볼리 미군유럽사령관 겸 나토 동맹국 최고사령관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합참의장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군은 전략적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필요한 병력 규모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더 중요한 건 이를 위한 기술이나 역량도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하면서도 “다만 지역적으로 진전을 이룰 능력이 있어 이득을 좀 얻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나토 최고사령관 - 크리스토퍼 카볼리 미군유럽사령관 겸 나토 동맹국 최고사령관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볼리 사령관은 이런 이유로 우크라이나가 하르키우에서 방어 전선을 지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 다만 러시아가 이 지역에 배치한 병력의 수를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이날 기자회견에 함께 나선 롭 바우어 나토 군사위원장도 “우크라이나가 승리하기에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바우어 위원장은 현재 전선에서의 상황이 “매우 어렵다”면서도 “다행히 추가적 지원이 전달되는 중”이라고 전했다.

특히 조만간 우크라이나군의 탄약 재고 상황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필요한 지원이 우크라이나에 가급적 신속히 도달할 수 있도록 우리는 할 수 있는 것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카볼리 사령관도 현재 동맹국들이 “막대한 양의 탄약과 단거리 방어체계, 장갑차를 우크라이나로 운송 중”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동료들과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며 “그들이 전선을 지키리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나토 관리들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때때로 우크라이나군보다 10대 1의 비율로 더 많이 공세를 퍼부었다. 우크라이나는 자국에 대한 미국의 군사 지원안이 수개월간 미 의회에 표류하면서 탄약 등 군사 장비 부족으로 난항을 겪었다.

한편 러시아군은 지난주부터 하르키우주를 겨냥한 지상 작전을 본격화했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선을 뚫고 보병을 진입시키면서 국경 마을 10여곳이 함락된 것으로 알려졌다.

“러, 하르키우 방면 8㎞ 진입…공격 속도는 느려져”

서울신문

러시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공세 - 2024년 5월 14일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공습 여파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싱크탱크인 전쟁연구소(ISW)는 최신 보고서에서 러시아가 지난 일주일간 하르키우 방면으로 지상전을 벌여 어느 정도 진군에 성공했으나 공격 속도는 느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ISW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북쪽 하르키우주 국경 지대에서 8㎞ 이상 진격하지 못했으며 현재 완충지대 구축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지역 당국자들이 전한 전선 상황을 종합한 판단이다.

지난 14일 기준 우크라이나군은 국경에서 12∼13㎞ 떨어진 지점 1차 방어선을, 20㎞ 떨어진 지점에 2차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러나 국경에서 3∼5㎞ 정도로 인접한 구역에는 러시아군의 지속적인 포격이 가해지면서 우크라이나군이 좀처럼 거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ISW는 “러시아 본토의 러시아군은 국경 인접지역에 쉽사리 포격을 가할 수 있지만 우크라이나군은 서방에서 제공받은 무기로 국경 너머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는 것이 금지돼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또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방면으로 깊이 침투하기보다는 완충지대 형성을 의도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크라이나가 취약한 국경지대에서 밀려난 지점에서 방어 진지가 고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바우어 위원장은 또 러시아의 하르키우 공세로 인한 전장 상황이 “우크라이나 당국이 기꺼이 자리에 앉아 협상을 시작할 정도로 (나쁘게)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군은 전쟁이 시작됐을 때 러시아가 차지했던 영토의 50%를 되찾았다. 따라서 그들은 러시아군의 영토를 조금씩 빼앗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전략적 진보도 전략적 성공도 아니다”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