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사설] 미, 중국 전기차에 관세폭탄…현대차 반사이익 반길 때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중국 BYD의 전기차가 지난달 베이징모터쇼에서 전시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불공정 무역으로부터 자국 업체들을 보호하겠다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00%로 높이는 '관세 폭격'을 가했다. 중국산 범용 반도체와 태양전지에 대한 관세도 25%에서 50%로 올라간다. 중국은 즉각 강력 반발하며 관세부과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다.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과로 촉발된 미중 관세전쟁이 11월 대선을 앞두고 재점화하는 모습이다.

무역업계 일각에선 한국산 전기차의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눈치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전기차의 수입 가격이 높아지면 현대기아차가 어부지리를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릴 경우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에게 좋을 건 없다. 더구나 중국산 제품의 미국 길이 막히면 우리나라의 대중 중간재 수출도 타격을 입기 마련이다. 중국산 전기차의 미국 판매량이 미미한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수혜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정작 주목해야 할 사실은 미국이 관세 폭격을 가해야 할 정도로 중국의 성장이 무섭다는 대목이다. 지난해 중국의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55%도 넘었다. 올 1분기 점유율도 중국 비야디(BYD)가 18%, 미국 테슬라가 13%였다. BYD의 소형 전기차 가격은 1만 달러에 불과하다. 미국 전기차는 세제 지원을 받아도 2만 달러를 넘는다.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의 공습을 서둘러 차단하고 나선 이유다.

중국의 전기차 업체는 100곳도 넘는다. 치열한 경쟁이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보기술(IT) 업체들과 합종연횡으로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기술도 갖춰가고 있다. 이렇게 내공을 쌓은 중국산 전기차와 우린 전 세계 시장에서 경쟁해야 한다. 중국에서 10년 전 10%대였던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지난해 1%대까지 추락했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도 같은 상황이 재연되지 말란 법이 없다. 미국의 이번 관세 폭격은 어부지리보다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상품 경쟁력 제고가 절실한 상황이라는 경고로 받아들일 필요가 크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