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나 혼자 죽는다'…일본 "매년 6만8000명 고독사" 첫 공식통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고독·고립사 고령자 7만 명 예상

연간 고독사 규모 한국보다 약 20배 높아

한 해 6만8000여명의 일본인이 자택에서 홀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는 일본 정부의 공식 통계가 나왔다. 이는 한국의 약 20배에 이르는 규모다. 14일 아사히신문은 일본에서 지난 1∼3월 자택에서 혼자 살다가 숨진 이는 2만1716명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일본에서는 그간 지방자치단체나 민간기관에서 고독사와 관련된 조사를 벌인 바 있으나, 정부 차원의 공식 통계가 공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경제

일본에서 이처럼 고독사가 많아진 배경에는 심화한 고령화 현상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 고독사 사례 중 65세 이상의 고령자만 약 1만7034명으로 80%가량을 차지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추세가 올해 말까지 이어질 경우, 약 6만8000명의 일본인이 고독사할 것으로 일본 정부는 추산했다. 이런 수치는 경찰 신고와 의사 신고 등을 집계한 것이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례도 포함됐다. 일본에서 이처럼 고독사가 많아진 배경에는 심화한 고령화 현상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 고독사 사례 중 65세 이상의 고령자만 약 1만7034명으로 80%가량을 차지했다.

연령이 올라갈수록 고독사 규모는 늘어났으며, 85세 이상은 4922명이었다. 이는 일본 민간 연구소인 닛세이기초연구소가 13년 전인 2011년 내놓은 65세 이상 연간 고독사 추산치 2만6821명의 2.5배에 달하는 수치다. 다케미 게이조 후생노동상은 전날 중의원(하원)에 출석해 "고독사 확률은 앞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면서 "정면에서 확실히 대처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비교하면 일본의 연간 고독사 규모는 약 20배가량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정부가 2022년 처음 발표한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21년 기준으로 국내 고독사 사례는 총 3378명이었다. 한국은 2021년 4월 1일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며 5년 주기의 통계 조사를 시작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