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재택근무 못하게 되자…"美 빅테크 고급 인력 회사 떠났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S·애플·스페이스X, 재택 종료 후 고위직 직원 4∼15% 감소"

연합뉴스

재택근무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실시했던 재택근무를 종료하고 직원들에게 사무실 복귀를 의무화하자 고위직 직원들이 대거 회사를 떠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대와 미시간대 연구팀이 인력 정보 회사 '피플 데이터 랩스'에 등록된 이력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 스페이스X에서 2022년 직원들에게 사무실 복귀를 의무화한 이후 전체 직원 대비 고위직 직원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소 4%에서 최대 15%까지 감소했다.

고위직 직원 비율이 가장 많은 줄어든 회사는 세 회사 중에서 유일하게 100% 대면 근무를 요구한 스페이스X로, 15%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MS에서는 고위직 직원 비율이 5% 줄었고, 애플은 4% 감소했다.

세 회사를 떠난 고위직 직원 중 많은 이들은 다른 경쟁사로 이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오스틴 라이트 시카고대 공공정책과 조교수는 "주요 테크 기업들에서 사무실 복귀 정책에 영향을 받은 숙련된 직원들이 다른 일자리를 찾으면서, 가장 귀중한 인적자본투자의 일부분과 생산성 도구를 가지고 갔음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다룬 MS와 애플, 스페이스X는 2022년 미국 빅테크 중 가장 앞장서서 팬데믹 시기의 재택근무를 종료하고 사무실 복귀를 시작한 기업들이다.

연구 저자들은 세 회사의 기업 문화와 사무실 복귀를 실시한 구체적인 방식은 다르지만, 사무실 복귀 의무화 이후 비슷한 변화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변화들이 공통의 변수에 의해 발생한 것"임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반 다이크 미시간대 연구원은 "우리 연구 결과는 사무실 복귀 의무화 정책이 회사에서 예상한 것보다 더 큰 비용을 치르게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이 (고위직 직원 비율) 감소율은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테크 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재택근무 지속 여부에 대한 논쟁이 가장 뜨거웠던 분야기도 하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테크 업계 거물들이 잇달아 '대면 근무의 장점'을 공개적으로 역설한 가운데 지난 달 존 도나호 나이키 CEO는 미 CNBC 인터뷰에서 재택근무가 회사 혁신을 가로막는다는 취지의 주장을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반면 근로자들은 출퇴근하는 것이 더 비효율적이라며 사무실 복귀 의무화에 반발하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해 로버트 폴리하트 사우스캐롤라이나대 경영학 교수는 사무실 복귀를 주장하는 임원들이 대면 근무가 더 이롭다는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재택과 대면 혼합형 근무 방식이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 현상도 아직 관측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폴리하트 교수는 "위에 앉아있는 이들은 (재택근무를 할 때) 회사가 돌아가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는 있지만, 구체적인 수치 근거를 가져오지 못한다면 사무실에 더 자주 들어와야 한다고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WP에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와 사무실 복귀 의무화 정책에 대해 MS 측은 답변을 거부했으며, 스페이스X는 즉각 답변을 보내지 않았다고 WP는 전했다.

조시 로젠스톡 애플 대변인은 WP에 해당 연구가 "부정확한 결론"을 내렸으며 "우리 사업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실제 인력 감소는 그 어느 때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wisefoo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