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군산시의회, 새만금청에 '새만금에 메가시티·공공기관 이전계획' 반영 촉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영일 군산시의회 의장(오른쪽 세번째)은 13일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가운데)을 방문해 '새만금 메가시티 및 공공기관 이전 새만금 기본계획 반영 촉구' 건의문을 전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박윤근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박윤근 기자 = 전북 군산시의회는 13일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을 방문해 '새만금 메가시티 및 공공기관 이전 새만금 기본계획 반영 촉구' 건의문을 전달했다.

이날 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군산·김제·부안 새만금 3개 시군을 통합해 '새만금 메가시티'를 조성해 통합 새만금에 공공기관을 적극 유치해야 만이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이전 후보지를 '새만금'으로 선택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전북 1호 공약인 '새만금 메가시티'를 차질없이 추진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안에 '새만금 메가시티'와 새만금 지역 공공기관 이전을 반영할 것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김영일 의장은 간담회에서 "전북이 17개 시·도 중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다"며 "전북이 인구소멸· 경제소멸 위기에서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바로 새만금"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 새만금 군산·김제·부안에 익산까지 통합해 그 전제로 정부 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우리 전북특별자치도가 살 수 있는 길이다 "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김우민 부의장은 "세종특별자치시만 보더라도 2012년 10만 명 정도였던 인구가 현재 약 39만 명으로 현저히 증가했고 재정자립도만 해도 2013년 38.8%였는데 2023년에 57.2%로 증가했다"며 "이렇게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공공기관 이전"이라고 했다.

또 박광일 행정복지위원장도 "새만금청장 임기와 상관없이 윤석열 대통령 전북1호 공약인 새만금 메가시티가 새만금 기본계획에 확실히 반영됐으면 한다"며 "새만금청이 새만금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음을 군산시민을 포함한 전북도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했다.

최창호 의회운영위원장은 "얼마전 새만금기본계획 재수립 6대 과제를 선정했다는 뉴스를 접했다"며 "새만금개발청이 새만금 전체 지역의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새만금의 계획 및 총괄 기능을 갖고 시민들의 의견까지 반영한다면 새만금 개발이 빨리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이 국가균형발전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군산·김제·부안 등이 하나가 돼 새만금의 발전적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새만금 사업 지역뿐 아니라 익산까지 이어지는 발전 축을 가지고 현재 새만금 메가시티 자체 용역을 실시하고 있으며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새만금 메가시티에 관련된 사업 예산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미래세대들을 위해 새만금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게 첨단산업, 식품, 관광·MICE 등 3대 허브 조성, 새만금 메가시티 추진 등 새만금 사업 백년대계의 토대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산시의회는 지난 3월에도 새만금 신시야미 관광레저용지에 '주거' 기능을 추가해 기본계획을 변경해 줄 것을 새만금개발청에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새만금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