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알리·테무 "한국 규제당국과 협의…소비자 안전에 노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업계 "중국산 제품 종류와 가짓수 많아 위해제품 100% 차단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제품 위해성 논란 등으로 한국 이용자 증가세가 주춤한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13일 "소비자 안전에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알리익스프레스 서울 지하철역 광고
[촬영 성혜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이날 오후 공정거래위원회와 위해 제품 모니터링 강화와 신속 차단 조치를 골자로 한 '자율 제품안전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의 레이 장 대표와 함께 쑨친(孫沁) 테무 공동설립자 겸 테무 한국법인 웨일코코리아 대표가 직접 참석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이날 각각 보도자료를 내고 제품 안전을 더 강화하고, 한국 규제당국에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레이 장 대표는 "효과적인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앞으로 규제 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한국 표준을 충족하도록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웨일코코리아 쑨친 대표도 "테무는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하는 핵심 가치를 따르고 있다"며 "소비자 안전과 플랫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 요청에 신속하고 성실하게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65개국 시장에 진출한 테무가 해당국 정부와 소비자 보호를 위한 협약을 체결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해외 온라인 플랫폼 자율 제품안전 협약식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테무의 한국법인인 웨일코 코리아 퀸선 대표이사(왼쪽부터),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대표가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국소비자연맹에서 열린 해외 온라인 플랫폼 자율 제품안전 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2024.5.13 hwayoung7@yna.co.kr


앞서 우리 정부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한국 시장을 공략하면서 소비자 불만이 급증하자 개인정보 보호나 소비자 분쟁 대응, 농식품 원산지 표시 등에 문제가 없는지를 조사하는 등 감시망을 넓혀왔다.

공정위는 최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를 대상으로 불공정 약관 직권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들 업체의 허위·과장광고 및 소비자 보호 의무 위반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2018년 한국 시장에 진출해 지사장 등 한국 상주 인력을 늘리고, 중국산 제품 직구 사업뿐만 아니라 한국산 상품 채널 '케이베뉴'(K-venue)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테무는 작년 7월부터 한국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상주 인력을 두지 않고 직구 사업에 매진해왔다.

그러나 이들 두 업체 한국 이용자 증가세는 지난 달 기점으로 꺾였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4월 한국 이용자는 각각 858만9천여명, 823만8천여명으로 3월보다 3.2%, 0.7% 감소했다.

유통업계는 발암물질 검출 등 품질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자 이들 업체 이용자 수가 줄었다고 분석했다.

최근 서울시와 관세청이 잇달아 알리익스프레스·테무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품과 장신구 등을 검사한 결과 발암물질인 카드뮴과 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DBP) 성분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자율 협약을 계기로 제품 안전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알리익스프레스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지적재산권 침해가 의심되는 약 7천개의 스토어를 폐쇄했으며 지난달 반품과 환불 처리 기간이 평균 1.4일, 가품 의심 상품 환불 처리 기간이 평균 2.4일로 각각 줄었다고 강조했다.

테무는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해 판매자 검증과 무작위 검사, 고객의 피드백 모니터링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유통업계는 그러나 중국산 제품 종류와 가짓수가 워낙 많아 위해 제품을 100% 차단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전망했다.

noano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