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가전 양판점'오프라인 매장 160개 철거...리뉴얼 통해 고객 반응 이끌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가전 양판점들이 줄어들고 있다. 가전 양판점을 대표하는 롯데하이마트와 전자랜드 매장들이다. 코로나19이후 약 160여 개가 사라졌다.

국내외 이커머스의 공략과 가성비를 내세운 중소기업제품들까지 쏟아지면서 시장내 경쟁력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2년 간 약 30%에 달하는 매출까지 감소한 가운데 실적 반등을 꾀하기 위한 전략으로 오프라인 매장 철거 카드를 들고나섰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롯데하이마트와 전자랜드는 점포 효율화를 위해 수익성이 나지 않는 소형 매장을 정리하는 등 사업 구조 개선에 나섰다.

소형 매장은 정리하고 대형매장 운영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롯데하이마트 점포는 2019년 말 466개서 지난 달 말 기준 333개로 133개가 줄었다. 전자랜드도 마찬가지다. 전자랜드는 2021년 131개에서 현재 103개로 28개로 감소했다. 철수한 소형 매장만 두 기업 합쳐 160여곳이 된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말까지 전국 100여 개 점포를 리뉴얼할 계획이다. 매출 반등을 위해서다. 실제 리뉴얼한 점포의 지난 1분기 실적은 전년 대비 7.8%증가했다.

이처럼 가전 양판점들이 점포수를 줄이고 리뉴얼을 하는데에는 고물가, 경기불황 등 뿐만 아니라 유통 시장에서도 중국발 이커머스 기업들의 공략, 소규모 가전제품 확산 등 때문이다.

이는 실적에서도 나타난다. 롯데하이마트의 연간 매출은 2021년 3조8000여억원에서 지난해 2조6000여억원으로 2년 동안 약 32.6%인 1조2000여억원이 축소됐다. 롯데하이마트는 2022년 520억원 영업손실을 내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8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흑자로 돌아섰으나 올해 1분기에는 작년 동기대비 1010억원(16.1%) 줄어든 5251억원의 매출에 16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전자랜드도 연간 매출이 2021년 8784억원에서 작년 5998억원으로 2년만에 2785여억원(31.7%) 축소됐다.

코로나19의 영향도 있었다. 집에서만 있는 시간이 길어진 탓에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에서 가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1인용 제품 등 가성비를 필두로 한 제품들을 선보인 것도 실적 부진에 한몫 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하이마트와 전자랜드는 실적 반등을 위한 점포 리뉴얼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자랜드는 작년부터 기존 점포를 유료 멤버십 매장 '랜드500'으로 리뉴얼해 선보이고 있다. 유료 회원 멤버십 '랜드 500'에 가입하면 500가지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최저가 수준으로 살 수 있다.

전자랜드는 랜드500 매장을 현재 32개에서 연내 4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 중이다. 랜드500으로 재단장한 점포의 1분기 매출은 지난해 대비 31% 증가했다.

하이마트는 1∼2인 가구를 겨냥해 자체브랜드(PB)인 '하이메이드' 가전제품을 소용량 중심으로 연내 180여종까지 늘리기로 했다. 지난 1일 출시한 하이메이드 245ℓ 소용량 냉장고(29만9000원)와 6L 에어프라이어(5만9900원)등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메트로경제> 와의 인터뷰에서 "각 매장들이 리뉴얼을 통해 각 세대의 특성에 맞는 제품군을 새롭게 선보이거나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만의 강점을 잘 살리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가전 양판점도 백화점과 같은 기조를 이어가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