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G7 정상회담

G7 “2035년까지 석탄발전소 모두 폐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탈리아 토리노 회의서 합의

경향신문

환경운동가들 시위 주요 7개국(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에 반대하는 환경운동가들이 29일(현지시간) 회의 장소인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경찰의 저지에 맞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 7개국(G7·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0년대 중반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기로 합의했다.

30일(현지시간) AFP 등에 따르면 G7은 이탈리아 토리노 베나리아궁전에서 지난 29일부터 기후·에너지·환경 부처 장관급회의를 열고 배출가스를 포집할 수 없는 석탄화력발전소를 2030년대의 절반에 접어드는 시기까지 없애기로 했다.

다만 합의문에는 각국이 파리협약에 따른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도 포함됐다. AFP통신은 특히 화석연료 사용량이 많은 일본이 석탄화력발전소를 전면 폐쇄할 목표 연도를 명확히 정하는 것을 꺼렸다고 전했다.

이 밖에 G7은 공동성명에서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를 줄이길 열망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유엔에서 채택된 ‘유엔 국가관할권 이원 지역의 생물다양성(BBNJ) 협약’을 각국 입법부가 신속하게 비준할 것도 촉구했다. 이 협약에는 각국 정부가 어획량이나 선박 항로의 경로, 심해 채굴과 같은 탐사 활동을 제한한다는 내용이 있다.

그린피스는 이날 성명을 내고 “G7은 늦어도 2030년까지 지구를 파괴하는 연료를 버려야 한다”며 “부를 축적하고 있고, 역사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많이 해온 G7의 정상들은 올해 열리는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 빈손으로 가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1년 전 세계 석탄화력발전소에서 15.3Gt(1Gt=10억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0%다. 일본과 독일의 지난해 석탄화력발전 비중은 32%, 27%를 차지했고, 미국은 G7 평균(16%)과 비슷했다.

한국 정부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2036년까지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59기 중 28기를 폐쇄할 계획이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