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韓경제 1분기 ‘깜짝성장’ 이끈 내수 회복 지속 ‘미지수’…건설 수주 부진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성장 기여도, 내수가 수출 앞서…정부 재정, 건설투자 '뒷받침'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 경제가 올해 1분기(1~3월) 예상을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한 데에는 내수의 깜짝 회복세가 상당 부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고금리 지속과 건설 수주 부진 등으로 향후 회복세가 지속 될 지에는 미지수다.

28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1.3%였다.

이중 내수의 성장 기여도가 0.7%포인트(p)로 순수출(0.6%p)을 웃돌았다. 내수의 기여도가 수출을 앞선 것은 작년 1분기 이후 1년 만이다.

최근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서 수출이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은 예견됐으나, 내수의 큰 폭 성장은 예상치 못한 부분이다.

특히 건설투자가 2.7% 증가하며 성장률(1.3%)에 0.4%p 기여했다. 민간소비도 0.8% 늘어 0.4%p 기여했다. 내수의 큰 폭 회복은 기저효과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민간소비의 성장 기여도는 작년 1분기 0.3%p에서 2분기 -0.1%p로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3분기 0.1%p, 4분기 0.1%p에 그쳤다. 건설투자는 작년 4분기 -0.7%p로 성장률을 큰 폭 깎은 바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건설투자와 소비가 작년 4분기에 그렇게 좋지 않았다"며 "기저효과로 민간소비와 건설투자가 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 등 공공부문의 신속 집행도 건설투자의 회복을 뒷받침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분기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예산으로 올해 예산현액(25조1000억원)의 35.4%인 8조9000억원을 집행했다. 공공기관 투자(10조1000억원), 민간투자 등도 건설 경기 회복에 집중하는 양상이었다.

민간이 주도한 '교과서적인 성장'이라 자평했으나, 정부의 기여도 상당했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 재정이 (성장에) 기여한 게 없다', '민간 주도다'라고 하지만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예산안 대비 재정집행 진도율이 재정을 당겨썼던 지난해보다 빠르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1분기 내수 회복은 일시적인 요인 영향이 크며 향후 회복세가 지속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민간소비는 부진이 완화되는 정도이고 건설투자는 금융 불안이 줄면서 공사가 진행된 측면이 있다"며 "이런 걸 감안했을 때 아주 강한 회복세라기보다는, 일시적 요인이 많이 반영된 모습"이라고 말했다.

큰 폭의 내수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하기에는 예고된 난제들이 만만치 않다. 건설수주는 지난 2월에 작년 같은 달보다 24.1% 줄었다. 건설수주는 2022년 10월에 35.4% 줄어든 이후 2023년 1월(13.1%), 10월(42.3%), 12월(42.7%) 등을 제외하면 대체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건설수주는 향후 건설경기를 예고하는 일종의 선행지표로서 통상 1년 6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건설투자에 반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이르면 2분기부터 건설경기의 큰 폭 하락이 예고된 셈이다.

금리 인하 시점이 미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내수에는 부담이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치(2%)를 웃도는 3%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번 '깜짝 성장'으로 금리 인하 시점이 더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물가 상승세와 경기 회복에 연내 금리 인하를 단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까지 제기된다.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된다면, 가계의 소비 여력과 기업의 투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 실장은 "통화 긴축 기조가 완화된다면, (내수) 회복 여지가 있다"며 "결국 물가가 생각했던 대로 안정화되는 게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내수 회복에 물음표가 찍히지만, 정부는 올해 연간 성장률을 올려잡을 것으로 보인다. 1분기 큰 폭의 성장 덕에 2∼4분기 0%의 성장률을 가정해도, 정부의 전망치(2.2%)를 달성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내수 회복세의 지속도 기대하고 있다. 수출 호조가 기업의 실적 호조, 가계의 소득 증가로 확산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최근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인 점도 기대 요인 중 하나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 100.7로 넉 달째 기준치 100을 넘었다. 기준치 100을 넘으면 장기평균치(2003∼2023년)와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당장은 이달 경제 지표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달 들어 이란·이스라엘의 확전 등 중동발 리스크가 불거진 상황이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은 후퇴하면서 외환시장 등 금융시장도 변동성이 큰 모습이었다. 원화 약세는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주원 실장은 "체감적으로 소비 여건이 안 좋아진 건 4월"이라며 "중동 리스크에 물가가 오르고 환율이 뛰고 금리가 연내 인하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등 소비에 부정적인 분위기가 잡혀서 4월 지표까지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