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반도체 수요 증가하는 인도, 韓 기업에 기회의 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김양팽 산업연구원 신산업실 전문연구원은 24일 서울대에서 열린 '제1회 상생포럼'에 연사로 나서 '인도 정보통신기술(ICT) 제조산업 분석'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반도체 설계(팹리스) 업계의 해외 진출 요충지로 인도가 급부상했다. 인도 정부가 전기·전자 산업 육성에 따라 반도체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신산업실 전문연구원은 24일 서울대에서 열린 '제1회 상생포럼'에 연사로 나서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중국 진출이 어려워진 국내 반도체 기업에게 인도는 새로운 기회의 땅”이라며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정책 등으로 전기·전자 생산공장이 늘리고 있어 팹리스 기업의 반도체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인도가 지난해 8월 노트북·개인용컴퓨터(PC)·태블릿 수입을 제한하는 등 자국 내 전기·전자산업 육성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아직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물, 전기 등의 인프라가 부족하지만, 미국 마이크론의 반도체 후공정 공장을 유치하는 등 해외 기업 투자 활성화에 적극적이다.

김 연구원은 “중국은 D램, 낸드플래시 등을 비롯한 주요 반도체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어 갈수록 국내 기업 제품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며 “반면에 인도는 모디 총리의 '자국 내 생산(Made in india)' 정책에 따라 투자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도 반도체 산업은 현재 팹리스가 제조 대비 더 발달해있고, 상당한 투자도 이뤄지고 있다”며 “인도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국내 팹리스도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인도는 고학력 저임금 노동자가 많은데, 세계 인공지능(AI) 인재의 경우 수요의 16%를 공급하며 이는 세계 3위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전했다.

인도 인구는 작년 기준 14억2863만명으로 세계 1위이며 평균 연령은 28.7세 수준이다. 대다수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가 위치한 카르나타카주에는 100여개 공과대학을 비롯해 800개 이상의 대학이 있고, 매년 공대생 졸업생만 10만여명을 배출해 인재가 풍부하다. 인도의 자국 내 반도체 조달률은 2021년 기준 9%로 2026년까지 17%로 늘어날 전망이다.

상생포럼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주최하고 서울대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반도체산업협회, 펜벤처스, 성균관대, 표준협회,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