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역사와 현실]언론과 미디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언론기관의 역사를 말한다면 서양보다 한국이나 중국이 훨씬 앞선다. 서양에서는 17, 18세기 신흥 시민계급과 함께 언론기관이 등장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도 이미 고려 시대에 정부 조직 안에 언론기관이 존재했다. 특히 조선왕조는 고려 시대보다 더욱 체계적으로 언론 기능을 발전시켰다. 국가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민간에서든 정부 안에서든 권력과 국정을 감시하는 언론이 필요했다.

오늘날 언론사 기자의 일을 맡은 조선 시대 정부 기관으로 사헌부와 사간원, 춘추관과 예문관을 들 수 있다. 사헌부와 사간원 관원을 언관(言官)이라 했는데, 국왕과 관리들을 말로 비판하는 일을 했다. 예문관과 춘추관은 임금과 관리들의 말과 행동을 기록했고, 그 기록을 모아 정리했다. 그 결과물이 <조선왕조실록>이다.

예문관과 춘추관은 똑같이 ‘국사(國事)’를 기록하는 일을 했지만 그 구체적 업무와 편제는 달랐다. 가장 큰 특징은 춘추관 관원 모두 다른 관직이 있는 겸직이었다는 점이다. 반면 예문관 관원은 전임이었다. 춘추관 관원이 겸직했던 부서는 승정원, 홍문관, 의정부, 세자시강원, 사헌부, 사간원, 승문원, 종부시, 육조였다. 다시 말하면 이들 부서 관리들 중 한 명 이상은 춘추관 관직을 겸직했다. 춘추관은 그 규모도 예문관보다 컸다.

조선왕조가 국정 기록을 모으고 ‘국사(國史)’를 쓰기 위해 춘추관과 예문관의 이중구조를 유지했던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 춘추관 관원이 겸직하는 부서에 그 힌트가 있다. 의정부, 이·호·예·병·형·공조로 구성된 육조, 승정원,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 승문원 등은 조선왕조를 움직이는 정부 핵심 조직이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려면 기록자가 그 조직 소속 관리여야 했다. 세자시강원은 세자 교육을 담당한 문신 조직이고 종부시는 왕실 계보인 ‘선원보첩’을 편찬하고, 임금의 친족인 종실(宗室)을 감시하고 그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맡은 기관이다. 말하자면 춘추관은 미래 권력과 왕족의 권력까지 살피고 기록했다.

예문관의 핵심 기능은 정7품 봉교 2인, 정8품 대교 2인, 정9품 검열 4인의 관리가 담당했다. 이들 8인을 ‘한림’이라고 불렀다. 7, 8, 9품 관품으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젊었고 국사 편찬의 핵심 기능을 담당했다. 춘추관원이 작성한 각 부서 운영에 대한 기록을 정리해서 역사기록으로 만든 것도 이들이었다. 이들이야말로 본격적 의미의 사관(史官)이었다. 그리고 이들만 <조선왕조실록>에 인물과 국정 상황에 대해 자기 생각을 기록한 사평(史評)을 남겼다. 춘추관원이 사실을 취합했다면 한림 8인은 그 기록을 맥락에 맞게 편집했고, 거기에 자기 생각을 더했다.

어찌 보면 춘추관은 오늘날 팩 저널리즘(pack journalism)의 한국적 형태인 ‘출입처 기자단’과 흡사했다. 국가를 운영하는 핵심 기관이 정부이므로 정부가 생산한 정보를 모으는 것은 자연스럽다. 하지만 정부 정책이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정책은 취지가 아닌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부 정책에 문제가 있고 정부가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생산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조선 시대에 춘추관 외에 예문관이 별도로 존재하고, 이들만 비판적 기록을 남기며 사관이라고 불렸던 이유이다.

근년 치러진 선거는 정당 간 대결이면서 동시에 그와 공조된 미디어 간 대결의 측면도 있어 보인다. 한때 종이신문과 방송 간 힘겨루기가 있었다면 이젠 팟캐스트와 유튜브까지 가세한 형국이다. 크게 보면 미디어마다 정파적 색채가 상이하다. 미디어별로 세대별 경험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세대가 결합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이번 선거에서 그 양상이 두드러졌다. 역사는 같은 것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며 변천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경향신문

이정철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이정철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